마지막 1원까지 영끌…450만명이 빚통장 3개
페이지 정보
본문
━ 다중채무자 역대 최대 가계 빚의 ‘약한 고리’가 더 위태로워지고 있다. 최소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으로 역대 최대로 늘면서다. 이 중 26.2%118만명는 소득의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다. 1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 수는 450만명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이뿐이 아니다.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명에서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22.75%도 역대 최대다. 김경진 기자 다중채무자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난 원인은 복합적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해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서다 보니 다중채무자도 그만큼 늘어났다”면서 “여기에 고물가와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생활자금이 부족해 추가로 대출을 받는 생계형 다중채무자도 늘어난 것”으로 해석했다. 고금리가 지속하면서 다중채무자의 부채가 부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실제 다중채무자의 상환 능력은 한계에 이르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3분기 말 1.5%다.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다. 빚 갚는 능력에 비해 차주의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도 불안 요인으로 꼽는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중채무자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평균 58.4%다. DSR은 차주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현재 다중채무자는 소득의 60%를 빚 갚는 데 쓰고 있다는 의미다. 김경진 기자 또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이 낮은 취약차주도 늘고 있다.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취약 차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6.5%로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다. 취약차주의 연체율도 가파르게 뛰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취약차주의 연체율은 8.86%로 같은 기간 비취약차주의 연체율0.35%보다 25.3배 높다. 문제는 이들의 연체율이 더 뛸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에 따르면 취약 차주의 지난해 2분기 이자부담비율연간 소득 대비 연간 이자 지급액은 20.7%로 2022년 1분기16.5%에 비해 1.25배 늘었다. 이자부담비율은 1년 정도 시차를 두고 연체율에 반영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 부진과 고금리가 한동안 이어질 수 있다 보니 취약차주 위주로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금융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사의 충당금을 더 쌓고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J-Hot] ▶ "8억 빚, 넉달 만에 갚았다"…금값 된 검은 반도체 ▶ 성인화보서 알몸 드러낸 獨공주…"가문의 불행" ▶ 반도체보다 3배 커진다…노후에 돈 버는 이 시장 ▶ 당신 노후 망치는 사교육비…이 두가지만 지켜라 ▶ 박정희에 "야 죽어봐"…김재규 발작 터졌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남준 kim.namjun@joongang.co.kr |
관련링크
- 이전글[Editors Note] 싸구려 취급 한국 증시…냉정히 보면 자초한 일 24.02.13
- 다음글테슬라 사이버트럭 한국에 뜬다 24.02.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