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03-09 10:01

본문

뉴스 기사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제공=삼성전자

[서울경제]

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리면서 반도체의 모양, 성능도 정말 다양하게 변하고 있죠. D램의 모양과 구조도 각양각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이 HBM이죠.


그런데 오늘은 그간 많이 다뤄졌던 HBM 외에도 독특하게 고안된 반도체 장치들을 들여다 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가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 학회 ISSCC 2024에서 보여줬던 D램 계층별 새로운 제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삼성의 접근 방식을 탐구하려고 합니다. 이번 시리즈에서 콕 집어본 장치는 LLW, GDDR, HBM-PIM 입니다. 먼저 LLW 콘셉트부터 보시겠습니다.


■LLW: AR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무기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LLW D램. Low Latency Wide I/O 의 줄임말입니다. 어려워보이지만 뜯어보면 쉽습니다. 이 D램을 딱 한마디로 요약하면요. 온디바이스 AI 기기를 위한 용량 작은 고대역폭메모리HBM입니다.


독자님들, HBM의 역할은 너무나 잘 알고 계시죠. 서버 등 고성능 컴퓨팅 기기HPC용 연산 장치 옆에 딱 붙어서 연산 속도를 극대화하는 D램인데요. 범용인 DDR D램 모듈보다 탑재 위치가 가깝고, 데이터 전송 속도대역폭·Bandwidth 면에서 큰 장점이 있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연산 장치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AI는 서버를 벗어나 점점 우리 손바닥 위에서도 구현이 되고 있죠. 우리가 손에 들고 다니는 노트북 PC·스마트폰·최근 뜨고 있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헤드셋이나 스마트 안경 등도 폭증하는 데이터를 연산해 AI를 보여줘야 합니다. 전자 기기에 주로 탑재되는 LPDDR D램 모듈로는, AI 연산을 우리가 원하는 만큼 빠른 속도로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D램 계층도에서 LLWLHM은 저전력 고대역폭 메모리의 줄임말로, LLW는 이 계층에 속함의 포지션. LLW는 AR과 VR 기기에서 LPDDR과 혼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삼성전자 ISSCC 2024 자료.

그래서 나온 개념이 LLW D램입니다. 기존 LPDDR D램보다 정보 출입구I/O 수를 대폭 늘려 데이터 이동 통로를 늘린 것이 특징이고요. 이 D램의 위치는 AI 반도체나 그래픽을 처리하는 칩 바로 옆에 붙어서 지근 거리에서 연산을 돕습니다.


오, 그런데 이 콘셉트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처럼 상당히 익숙하시죠? 맞습니다. 이미 비슷한 형태의 D램이 상용화된 사례가 있습니다. 애플의 AR 헤드셋 비전 프로에 탑재된 SK하이닉스의 커스텀 D램입니다. 비전 프로 안에서 각종 외부 정보를 받아들여서 연산하는 R1 칩 바로 옆에 탑재가 된 D램인데요. 기존 LPDDR D램보다 입출구I/O수를 무려 8배 많은 512개를 뚫은 게 특징입니다.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LLW의 특징. 출처=삼성전자 ISSCC 2024 자료

삼성전자 자료를 보면 LLW D램을 SK하이닉스의 커스텀 D램과 상당히 비슷하게 접근한 모습입니다. HBM에서 했던 것처럼 실리콘관통전극TSV을 활용해 입출구I/O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요.


SK하이닉스의 커스텀 D램과 같이 512개의 I/O 수를 구현해서 LPDDR5 D램보다 2.5배 높은 초당 128기가바이트GB 대역폭을 구현했습니다. 덕분에 데이터 지연성latency은 LPDDR D램의 절반 수준이어서 병목 현상을 빠르게 해결한 모습이고요. 전력 효율도 좋습니다. LPDDR 칩이 비트당 3피코줄pJ 안팎의 전력을 소모하는 것에 비해, LLW D램은 동일 조건에서 70%나 줄어든 비트 당 1pJ을 구현한다고 합니다. 앞으로 삼성전자가 어떤 고객사에 LLW D램을 공급하게 될 지를 지켜보는 것도 D램 시장에서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GDDR7 : Im Still Alive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다음은 GDDR입니다. 말그대로 그래픽용 DDR 규격의 D램입니다. 한동안 HBM의 강세에 GDDR은 기가 죽은 것처럼 보였죠.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중용되는 AI 시장에서 대역폭과 용량이 생명이 되면서, GPU 옆엔 GDDR보다 HBM이 붙어있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프레임과 평가가 나오면서였습니다.


그래도 GDDR. 아직 살아있고 쓰임새도 많습니다. 하이퍼스케일 이외의 좀 더 로우엔드low-end의 AI 시장에서는 HBM 대신 저렴한 GDDR을 쓸 여력이 남아있고요. 점차 게임기, AR 디바이스 역시 진화에 진화를 거듭할 것이기에 GDDR 성능과 시장 수준도 고도화가 예상됩니다. 세계 GDDR 시장 매출은 2018년 32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 48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죠.


최근 세계 반도체표준협회인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에서도 차세대 GDDR7 D램에 대한 표준을 공식화하며 화제가 됐습니다. I/O 당 최대 속도를 초당 48Gb로 규정하고, PAM3 신호 방식을 처음으로 채택했다고 한 게 가장 눈에 띄죠.


삼성전자는 GDDR7 D램에 대한 자신감이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입출구 당 32Gb, 그러니까 1초에 320억 개의 0또는 1을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죠. 조금 전 설명드린 LLW D램의 한 개 입출구 당 데이터 전송 속도가 2Gb, 삼성전자 12단 HBM3E 속도가 초당 10Gb인 걸 고려하면 엄청난 속도입니다.



삼성전자가 칼 갈고 준비한 메모리 新무기 3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삼성전자는 ISSCC 발표에서도 GDDR7의 장점을 설명했는데요. 지난해 개발 완료 발표 당시의 초당 32Gb 속도보다 한층 업그레이드 된 초당 40Gb 속도를 제시하기도 했고요. 특히 PAM3 신호 방식으로 전세대인 GDDR6·GDDR6X 제품에서 썼던 PAM4, PAM2NRZ·Non Return to Zero 신호 방식에 비해 더욱 개선된 스피드를 구현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여기서 우리에게 조금은 생소한 개념인 PAM을 조금 더 살펴보면요. PAM은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의 줄임말입니다. 반도체가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이거나 외부로 전달할 때는 마치 맥박이 뛰는 것처럼 주기사이클가 있는데요. 한 맥박이 뛸 때, 그러니까 한 사이클마다 몇 번의 변조를 주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가를 정한 일종의 규칙이 PAM입니다. 즉 PAM3는 한 주기사이클마다 3개, PAM4는 4개의 단계level로 나눠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 그렇다면 PAM4가 단계가 더 많다면, 한 사이클마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테니 더 좋은 것 아니냐고 물을 수 있을텐데요. 일종의 과유불급이라고 보면 될까요. PAM4는 특성 상 간섭 현상에 취약해서 오히려 데이터 전송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GDDR7은 NRZ와 PAM4를 절충한 PAM3를 채택한 것으로도 보이는데요.


실제 삼성의 자료에서도 보면 PAM3의 코딩 효율Coding Efficiency은 PAM4 신호 방식을 썼을 때보다 11.5%나 올라갔다고 설명했습니다. 삼성 자료에서도 "PAM3를 쓰면 PAM4에 비해 비트오류율BER이 개선돼 1.5배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며 "PAM4보다 PAM3 신호 방식이 속도 확장을 더 보장할 것"이라고도 덧붙였죠.


지금까지 삼성의 LLW와 GDDR7 D램 성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2편에서는 삼성이 PIMProcessing-In-Memory 기술을 차세대 메모리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강해령 기자 hr@sedaily.com

[서울경제 관련뉴스]
3700만원에 입단했는데···7년만에 몸값 731억 누구
사과 1개에 2만원···"실감도 안나···비트코인인가?"
싸이 덕 봤나···‘2인자’ 꼬리표 뗀 감기약은 무엇
“장원영 눈코입 다 담겼네”···‘20배줌’ 촬영한 ‘이 폰’
정동원 부친, 교도소 수감 중? 소속사는 무응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95
어제
1,174
최대
2,563
전체
371,73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