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민의 톺아보기]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다양한 라이다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s://omedia.co.kr/img/no_profile.gif)
본문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7~10일현지시간 열린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5에서 살펴본 자율주행 차량에 다양한 라이다 센서가 탑재돼 있었다. 구글 웨이보, 아마존 죽스 등 자율주행 차량은 라이다를 기반으로 기술을 진화시켜 왔다. 완성차 업체들도 아우디 A8을 시작으로 일부 모델에 라이다 센서를 장책하고 있다.
![[정구민의 톺아보기] amp;#65279;자율주행차에 탑재된 다양한 라이다 amp;#65279;](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c66ad2002a5ae3.jpg)
#xfeff;라이다 시장의 변화
완성차 업체들의 본격적인 자율주행 상용화가 늦어지면서 라이다 관련 시장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웨이모 초기 자율주행차는 벨로다인 라이다가 탑재된 바 있다. 이후 웨이모는 라이다 센서와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를 직접 개발해 자율주행차 생산 단가를 낮추고 있다. 초기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며 큰 인기를 끌었던 벨로다인은 후에 오우스터에 인수되기도 했다.
포드와 폭스바겐의 지원을 받던 아르고AI는 자율주행 기술과 함께 라이다 센서를 같이 개발해 왔다.
아르고AI가 폐업한 이후 LG이노텍은 관련 기술을 인수해서, 최근 CES에 고성능 1400nm 회전형 라이다를 전시하고 있다.
완성차 측면에서는 아우디 A8에 발레오의 라이다가 처음으로 장착됐다.
발레오는 벤츠에도 라이다를 공급하고 있다. 차세대 플랫폼 차량을 위해서 벤츠와 볼보는 루미나의 장거리 라이다를 적용할 계획이다.
CES 2025에서 볼보는 루미나 라이다를 탑재한 EX90이 작년부터 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2024년 말 콘셉트 CLA 클래스 앙샨을 목표로 했던 벤츠는 아직 관련 발표가 없는 상황이다.
폭스바겐은 2026년부터 이노비즈로부터 라이다를 공급받는 계약을 2022년에 체결한 바 있다.
![7a1eda8cb051cd.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7a1eda8cb051cd.jpg)
![99f2478585b549.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99f2478585b549.jpg)
BMW도 최근 자율주행 차량에 이노비즈와 라이다 탑재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완성차 업체에서 본격적인 양산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면서 라이다 대표업체인 루미나는 2024년 30% 정도의 직원에 대한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중국 자동차사의 라이다 적용은 조금 더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다.
중국 라이다 업체 허사이와 로보센스를 중심으로 라이다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화웨이는 자율주행 프로세서-라이다 센서-레이더 센서-운영체제-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해 중국 자동차사에게 수평전개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2023년말부터 AITO M9을 시작으로 적용이 시작되고 있다.
#xfeff;CES 2025, 어떤 라이다가 자율주행차에 탑재됐나
CES 2025에는 웨이모, 모빌아이, 죽스 등의 자율주행 회사들과 BMW, 혼다, 지커, 장성자동차, 소니-혼다 모빌리티, 볼보 등의 자동차 회사들의 라이다 탑재 차량이 이슈였다.
다만 BMW 차량은 이노비즈 전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볼보는 전시없이 키노트를 통해서 EX90을 소개했다.
웨이모는 라이다와 4D 이미징 레이더를 직접 개발하고 있다. 모빌아이도 비슷한 전략을 취해 왔으나, 2024년 라이다 개발을 포기한 바 있다.
완성차 업체의 요구사항에 맞춰 라이다 센서를 적용하면서도, 이스라엘 업체인 이노비즈와의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모빌아이 전시장의 포드 ID 버즈 AD 자율주행차에는 장거리 라이다 3개와 단거리 라이다 6개가 탑재되어 있다. 이 장거리 라이다는 이노비즈에서 공급하고 있다.
이노비즈는 향후 단거리 라이다 6개도 모두 자사의 제품으로 바꿀 계획이다.
아마존 죽스는 총 8개의 라이다를 장착하고 있다. 죽스는 그동안 중국의 허사이와 협력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다. 다만, CES 2025 전시장에서는 공식적인 답변을 피했다.
주요 자동차사 측면에서는 볼보-루미나, BMW-이노비즈, 장성자동차-허사이, 지커-로보센스의 조합을 찾아볼 수 있다.
혼다와 소니혼다모빌리티는 아직 양산 전이어서 결정된 것이 없다는 의견을 주었다. 다만, 소니는 CES 2024에서 자체 개발 중인 라이다 센서를 소개한 바 있다.
#xfeff;2025년 라이다 시장 활성화 여부 주목
![d0f215d64677f3.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d0f215d64677f3.jpg)
![ffc94e9a726219.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ffc94e9a726219.jpg)
2025년은 자율주행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라이다 시장도 큰 발전이 예상된다.
볼보, 벤츠의 루미나 라이다 상용화 본격화, BMW의 이노비즈 라이다 상용화 본격화, 2026년으로 예정된 폭스바겐의 이노비즈 라이다 양산 등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올해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운전자없는 자율주행 트럭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관련 라이다 공급사의 성장도 가능해질 수 있다.
웨이모, 죽스 등 자율주행 회사들이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자동차 시장 정체와 주요 부품사의 어려움은 관련 시장 확대에 부담이 되고 있다.
모빌아이나 루미나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관련 업체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2025년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상대적으로 중국 라이다 업체들의 실적이 좋은 상황이지만, 미중美中 무역분쟁과 중국 경기 침체 등의 요인도 주목해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CES 2025에서 우리나라의 에스오에스랩은 라이다 관련 기술로 혁신상을 수상했다.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2025년 자율주행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좋은 성과를 기대해 본다.
정구민 국민대 교수는?
![54ccd965b35f49.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12/54ccd965b35f49.jpg)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네오엠텔의 창업멤버였고, 이후 SK텔레콤에서 근무했다. 현대자동차 생산기술개발센터, LG전자 CTO부문,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네이버 네이버랩스의 자문교수와 유비벨록스 사외이사를 역임하는 등 업계와 학계를 두루 거친 전문가다.
현재 휴맥스·현대오토에버 사외이사, 현대케피코 자문교수, 한국모빌리티학회 수석부회장,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부회장, 대한전기학회 정보및제어부문회 이사를 맡고 있다.
[관련기사]
▶ "딸이 납치됐다" 보이스피싱 당한 엄마…끝까지 추적한 편의점주
▶ 김부선 "내가 윤석열 대통령 만들었다고? 민주당, 문재인 탓이지"
▶ 외도 들킨 후 당당히 바람 피는 아내, 11살 아들에겐 "엄마 인생 응원해 줘"
▶ "웃는 얼굴로 이별할 것"#x22ef;나훈아, 서울 올림픽공원서 라스트 콘서트
▶ 권성동 "김민전 백골단 회견, 사과했으니 징계 사유 아냐"
▶ 최태원 "방금 팔고 왔다"는 유리기판, SKC 선두로 삼성·LG 참전
▶ "당분간 세탁기 돌리지 마세요"…보일러·수도 동파 예방하려면
관련링크
- 이전글보급형 폴더블 갤럭시 Z 플립 SE 나오나, GSMA DB에서 포착 25.01.13
- 다음글방통위, 개인위치정보사업 등록 접수…연 6회 25.01.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