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손상된 시력도 회복" 망막 질환 치료법 나왔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이미 손상된 시력도 회복" 망막 질환 치료법 나왔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3-31 05:52

본문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KAIST “포유류 최초로 장기간 신경 재생…2028년 임상시험 목표”

이미 손상된 시력도 회복할 수 있는 망막 재생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치료제가 전무했던 퇴행성 망막 질환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망막 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는 3억명 이상에 이른다.


병증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미 손상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제는 현재까지 없다.

어류는 망막이 손상돼도 망막 내 ‘뮬러글리아’라는 세포가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한 뒤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이 기능이 사라져 망막이 한번 손상되면 회복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포유류에서 뮬러글리아 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프록스원’PROX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프록스원 단백질은 어류 망막의 뮬러글리아에는 쌓이지 않지만, 생쥐 망막 내 뮬러글리아에는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손상된 망막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프록스원 단백질이 뮬러글리아로 이동해 신경 재생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이에 프록스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해 프록스원이 뮬러글리아에 도달하기 전에 세포 밖에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선천성 망막 퇴행성질환 생쥐를 대상으로 망막 조직의 신경 재생과 시력 회복을 유도했다. 그 효과는 6개월 이상 지속됐다.

포유류 망막에서 장기간 신경 재생을 유도한 세계 최초의 사례다.

김진우 교수가 창업한 벤처 ‘셀리아즈’에서 다양한 퇴행성 망막질환에 적용하기 위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2028년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1 저자인 이은정 박사는 “프록스원 중화항체의 효능을 개선하는 작업이 마무리돼, 여러 동물을 이용해 시력 회복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실명의 위험에 노출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난 2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박준우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싱크홀 사고로 딸 급식이”…불만 드러낸 방송인, 뭇매에 사과

나경원, 野 ‘연쇄탄핵’ 경고에 “통진당보다 더 위험한 체제 전복 시도”

청주 역주행 사고로 3명 숨지고 6명 부상...운전자, “급발진 사고” 주장

경북 산불 실화자 50대 남성, 경찰 입건에도 “혐의 부인”

[속보]트럼프 “푸틴에 매우 화났다…휴전 합의 안하면 러 원유에 25% 2차 관세”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00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3,89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