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20GB가 1만원대래" 우르르?…알뜰폰 1000만 시대 온다
페이지 정보

본문
[MT리포트] 알뜰폰 대해부 上
[편집자주] 효도 요금제로 불리던 알뜰폰이 1000만 가입자 시대를 목전에 뒀다.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M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어서다. 정부가 올해부터 추진한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는 알뜰폰 천만시대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그러나 여전히 "잘 모른다"는 소비자가 많다. 알뜰폰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A부터 Z까지 대해부한다
━
[단독] "아직 안 갈아탔어?" 1000만 알뜰폰 코앞…무한경쟁 54개사 강점은
━
![]() |
2024년 12월 기준 알뜰폰 사업자 유형별 가입자 비중/그래픽=윤선정 |
29일 머니투데이가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과기정통부로부터 받은 2024년 알뜰폰 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는 총 949만명이다. 이중 △이통3사 자회사5개가 47.9% △대기업·금융권2개이 4.8% △독립계중소·중견, 47개가 47.3%를 차지했다.
머니투데이가 가입자수 기준으로 상위 10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통3사 자회사가 포진했다. 사업자별 가입자수가 구체적으로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KT엠모바일은 170만명으로 여전히 압도적 1위를 유지했고, 미디어로그104만명, SK텔링크78만명, LG헬로비전75만명이 그 뒤를 이었다. KT스카이라이프는 42만명으로 8위다.
대기업·금융권 계열에선 KB국민은행이 이름을 올렸다. 2020년 9만명에 불과했던 KB국민은행 가입자는 지난해 43만명까지 늘었다. 에스원은 삼성 계열이지만 가입자81만명의 90% 이상약 75만명이 IoT사물인터넷 회선이라 순위에서 제외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핀테크 업체인 토스는 비금융권, 태광계열인 한국케이블텔레콤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아 중견기업에 속한다.
중소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 중에선 유니컴즈47만명, 프리텔레콤34만명, 큰사람커넥트29만명가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통3사 자회사 안정적 품질…가성비는 중소 독립계
![]() |
2024년 12월 기준 알뜰폰 사업자별 가입자 수 Top20/그래픽=윤선정 |
금융 계열 알뜰폰은 금융 상품 연계로 요금제를 할인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정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통신비를 할인해 주고, 계좌에서 통신비 자동이체 시 금리 우대도 지원한다. 앱 하나로 금융 서비스와 통신비를 관리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중소알뜰폰 상품은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찾는 이용자들에게 제격이다. 월 1000원대 초저가 요금제부터 월 1만원 이하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판매한다.
다만 업계에선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찾는 알뜰폰 시장 특수성을 고려하면 사업자 규모와 브랜드가 가입자를 유도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설명한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으로 넘어온 이용자는 브랜드 상관없이 100원이라도 더 저렴한 곳을 찾는 경향이 크다"며 "이는 프로모션과 마케팅에 따라 언제든 가입자수가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대포폰·종교폰 오명…중소 알뜰폰 체질개선 본격화
2021~2022년 이통3사 자회사가 시장 절반 이상50.7%을 차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중소·중견 알뜰폰의 약진은 고무적이다.
다만 군소업체 난립으로 부작용이 잇따른다. 진입장벽이 낮아 전광훈알뜰폰퍼스트모바일처럼 특정 집단의 수익사업으로 전락하거나, 대포폰으로 활용됐다. 부실한 고객상담 서비스에 소비자 불만도 높다.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사업자일수록 이통사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RS이통사 상품을 재판매하고 수익 공유 쏠림 현상이 나타나 결국 이통3사에 종속됐다. 게다가 오는 30일 도매대가 사전규제가 사라지면서 원가 상승으로 중소 알뜰폰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과기정통부는 알뜰폰 체질개선에 시동을 건다. 알뜰폰 시장이 변곡점을 맞은 셈이다. 자본금 기준을 상향3억원→10억원하는 등 진입장벽을 높이고 기존 사업자에 정보보안 의무를 강화한다. 이통3사의 대리점 격인 RS가 아니라, 알뜰폰업체가 요금을 자체 설계하는 RM데이터 사용량만큼 이통사에 비용 지불 방식의 도매대가를 최대 52% 낮춰 자생력을 높인다는 목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소·중견 알뜰폰의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다"며 "소비자 신뢰 확보가 생존을 판가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알뜰폰 사용자는 누구? "요금 2만원 미만, 결합·약정 싫어"
━
![]() |
알뜰폰 회선 통신방식과 이동통신 3사 회선 통신방식./그래픽=윤선정 |
알뜰폰MVNO은 자급제 단말기를 구입해 요금을 자유롭게 옮기는 2030세대가 주도한다. 장기간 약정에 묶이지 않고 저렴한 요금제를 쓸 수 있다면 5G보다 속도가 느린 LTE도 괜찮다는 분위기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체 알뜰폰 가입회선 949만개 중 LTE가 94%893만개, 5G가 4%37만개를 차지했다. 5G가 사양길을 걷는 3G2%·19만개의 2배를 넘지 못하는 수준이다.
알뜰폰 가입자들은 5G 단말기를 보유하면서도 비교적 느린 통신속도를 감수하며 LTE 요금제를 이용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2023년 2월 논문 국내 알뜰폰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에 따르면 국내 알뜰폰 가입자 1068명 중 33%가 5G 단말기를 보유했지만, 9%만 5G 요금제를 이용했다. 삼성전자·애플 등 휴대전화 제조사들이 주요 출시 단말기를 5G 기종으로 일원화하면서 5G 단말기로 LTE 요금제를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가 매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알뜰폰의 인기는 합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2030세대 사이에서 특히 높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2018년 전체 알뜰폰 가입자의 3분의 133% 수준이던 2030세대 비중은 2021년 49%로 증가했다. 이후 0원 요금제 등이 출시되며 젊은층 비중이 증가 추세다. KB리브모바일은 2023년 가입자의 60%가 2030세대라고 밝혔다.
알뜰폰의 주요 선택기준은 저렴한 요금이다. ETRI 연구에서 알뜰폰 가입자들은 이용 중인 통신사를 선택하는 데 중요하게 본 요인으로 요금제중복응답률 89%를 꼽았다. 이들의 54%는 월 2만원 미만 요금제에 가입했고, LTE와 5G를 통틀어 평균 20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초 5G 망 도매대가 인하가 월 1만원대 요금에 2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배경이다.
다만 언제라도 요금제·통신사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단말기 할부구입과 결합할인을 배제하는 가입자들의 성향은 알뜰폰 통신사들의 고민거리다. 한 소비자 조사기관의 지난해 시장조사에 따르면 자급제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들은 알뜰폰 가입자의 81%를 차지했다. 30%대에 그친 이통사MNO 가입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컨슈머인사이트는 "고객 요구 측면에서 이통사 이용자는 편의성·안정성을, 알뜰폰 이용자는 비용절감과 유연성을 중시한다"며 "이통사와 알뜰폰은 네트워크 기반이 동일하고 고객 이동이 가능한 동일 산업이지만, 마치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처럼 별도로 작동하는 특성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
1만원대 5G 요금 나오자…"여보, 갈아타자" vs "20GB 부족"
━
![]() |
/그래픽=이지혜 디자인 기자 |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19개 회원사 중 스마텔, 큰사람커넥트, 프리텔레콤, 아이즈비전 4개사가 이날 기준 9종류의 1만원대 5G 20GB 요금제를 내놨다. 협회는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도 도매대가를 인하하면 해당 요금제 출시는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협회는 올해 6월까지 20여개의 1만원대 5G 20GB 요금제 출시를 목표로 한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이용자들이 크게 호응중이다. 이동통신사의 유사 구간 요금제 대비 최대 65% 저렴해서다. 예컨대 SK텔레콤의 온라인 전용 요금제인 다이렉트5G 42는 데이터 24GB 제공에 월 4만2000원인데, 알뜰폰 1만원대 5G 20GB 요금제보다 2배 이상 비싸다.
특히 스마텔의 5G 스마일플러스 20GB 요금제의 경우 월 1만9800원에 20GB 데이터는 물론 음성·문자까지 무제한으로 제공하면서 통화량이 많은 이용자에게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프리텔레콤은 1만원대 가격을 유지하면서 경쟁사보다 데이터양이 많은 25GB, 30GB 요금제도 선보였다.
그간 1%대에 머물던 알뜰폰 5G 가입자 수도 덩달아 증가할지 관심이 쏠린다. 과기정통부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알뜰폰 5G 가입회선은 37만개다. 전체 5G 회선3563만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LTE 회선이 43%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다.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5G 시대에 20GB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과기정통부 트래픽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 가입자당 트래픽은 19.5GB다. 물론 20GB 요금제에 딱 맞는 수준이다. 다만 이용자들은 매달 데이터 사용량에 편차가 있어 5~10GB 여유분을 갖고 요금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점을 고려하면 다소 불안하게 느껴질 수 있다. 또 지금까지 출시된 요금제에 QoS가 없는 것도 걸림돌이다. 데이터 초과 시 MB메가바이트당 22.53원을 추가로 내야 하는데, 요금 폭탄이 우려된다.
통신 업계 한 관계자는 알뜰폰의 1만원대 5G 20GB 요금제에 대해 "LTE에서 5G로 넘어올 때 데이터 트래픽은 상당히 증가했고, 5G 이용자 특성상 데이터가 제한되는 것을 못 참는 경향이 있다"며 "20GB는 5G 시대에 사용하기에 부족할 수 있으며 특정 세그먼트 이용자들만 반응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김수현 믿고 리얼 합류…베드신 후유증 상당했다" 여배우 고백 재조명
☞ 싱크홀 인명사고에 대체급식 불만…대치맘 김경화 "생각 짧았다"
☞ 장윤정, 10억 빚 친모와 절연 후 속앓이…"집얘기 나오면 위축"
☞ "아이유는 2억했는데, 손흥민은?"…산불 기부 강요 논란
☞ 3살에 입양된 김재중, 양엄마와 첫만남에…"나 버리지마" 뭉클
☞ 피 토한 대통령, 급박했던 순간…"배우 관심받으려" 암살 꾸민 美 청년[뉴스속오늘]
☞ 미얀마 강진 급격히 늘어나는 사망자들…공항 파괴돼 다른 나라 구조대도 못와
☞ 66세에 자연 임신한 독일 여성…2시간씩 이것 했다
☞ 트럭 모는 육준서에게 "이시안 타봤냐" 추궁…"탔네 탔어"
☞ 술집서 처음 만난 옆 손님 때려죽인 50대…귀가해 쿨쿨
☞ 9배 올랐다가 39% 뚝…"기괴" 가격 급등락, 한국인이 쥐고 흔들었다
☞ 1165회 로또 당첨번호 "6, 7, 27, 29, 38, 45"…21억씩 받는다
☞ 중국의 양자 기술, 어디까지가 실제고 어디까지가 허상인가? [PADO]
☞ "강아지에 8만원짜리 침 놓았어요"…中도 펫코노미 급성장 [차이나는 중국]
☞ 예금금리 뚝 떨어져도 "대출금리 내리기엔…" 뜸 들이는 은행권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 "김수현 믿고 리얼 합류…베드신 후유증 상당했다" 여배우 고백 재조명
☞ 싱크홀 인명사고에 대체급식 불만…대치맘 김경화 "생각 짧았다"
☞ 장윤정, 10억 빚 친모와 절연 후 속앓이…"집얘기 나오면 위축"
☞ "아이유는 2억했는데, 손흥민은?"…산불 기부 강요 논란
☞ 3살에 입양된 김재중, 양엄마와 첫만남에…"나 버리지마" 뭉클
☞ 피 토한 대통령, 급박했던 순간…"배우 관심받으려" 암살 꾸민 美 청년[뉴스속오늘]
☞ 미얀마 강진 급격히 늘어나는 사망자들…공항 파괴돼 다른 나라 구조대도 못와
☞ 66세에 자연 임신한 독일 여성…2시간씩 이것 했다
☞ 트럭 모는 육준서에게 "이시안 타봤냐" 추궁…"탔네 탔어"
☞ 술집서 처음 만난 옆 손님 때려죽인 50대…귀가해 쿨쿨
☞ 9배 올랐다가 39% 뚝…"기괴" 가격 급등락, 한국인이 쥐고 흔들었다
☞ 1165회 로또 당첨번호 "6, 7, 27, 29, 38, 45"…21억씩 받는다
☞ 중국의 양자 기술, 어디까지가 실제고 어디까지가 허상인가? [PADO]
☞ "강아지에 8만원짜리 침 놓았어요"…中도 펫코노미 급성장 [차이나는 중국]
☞ 예금금리 뚝 떨어져도 "대출금리 내리기엔…" 뜸 들이는 은행권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지구온난화로 육지 물 급격히 사라져…"돌이킬 수 없는 수준" 25.03.30
- 다음글쿠키런 클래식, 12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악뮤와 컬래버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