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 낳는 자원인데…환자 의료 정보 놀리기만 하는 한국
페이지 정보

본문
OECD 2위 양질 데이터 활용 못해
업계 “지원 미비, 산업 주도권 놓쳐”
바이오 격전 속 태세전환 시급
업계 “지원 미비, 산업 주도권 놓쳐”
바이오 격전 속 태세전환 시급

미국 미네소타의 인공지능AI 병원 메이오클리닉. 이곳에서는 AI 알고리즘을 통한 진료가 일반적이다. 3250만명 환자를 통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어떤 약물이 가장 효율적인지 찾아낸다. 수술 현장에서도 AI를 활용해 종양 위치를 금세 찾아낸다. 존 할람카 메이오클리닉 플랫폼 대표이사는 “의료진이 AI 기술을 이용해 1초 만에 환자 치료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찾아낼 수 있다”며 “병원이 거대한 AI 공장이 됐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AI·바이오 융합 경쟁의 중심에 의료 데이터가 있다. 하지만 한국은 고품질 의료 데이터를 보유하고도 이를 방치하고 있다. 잠자는 의료 데이터를 깨워 부가가치를 올리는 게 시급하다.
16일 글로벌 컨설팅사 PwC·Strategyamp;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활용해 주요국 의료 데이터 가용성을 평가한 결과 한국은 6.9점으로 7.8점을 받은 덴마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미국 3.0점보다 훨씬 앞선다. 국민건강보험으로 전 국민 의료 데이터를 확보한데다 병원 의무기록이 신속히 전산화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데이터가 제대로 쓰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의료 데이터 상업화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지침이 없어 업계가 선뜻 손대지 못하고 있다.
환자 정보가 암호화되지만 개인 기록을 사업에 이용한다는 비판이 걸림돌이다. 정부가 이런 리스크를 해결해줘야 AI와 바이오를 융합한 첨단산업이 살아날 수 있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양질의 의료 데이터를 ‘성스러운 상자’에 넣고 바라만 보고 있다”면서 “미국이 정부 차원에서 데이터 사업에 나서 기업에 이를 개방하는 식으로 주도권을 쥐는 모습과 대비된다”고 지적했다.
[라스베이거스 = 고민서 기자 / 서울 = 김정환 기자]
▶ 영덕 앞바다서 잡힌 1천만원 초대형 참치…기뻐할 일 아니라는데
▶ “하필이면 배달기사 거기에”...스타벅스 727억 배상 명령받아[영상]
▶ “아침에 뉴스보기 겁난다”...떨고있는 도시들 “한국GM, 떠나는거니”
▶ “尹을 부끄러운 졸업생으로 선정하고 싶다”…충암고 이사장, 탄핵 집회서 한 말은
▶ “월70만원 부으면 5000만원 내 통장에”…2주 새 신청자 15만명 급증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아파트 주민들이 "관광객 출입금지"한 이유 [사이공모닝] 25.03.17
- 다음글나란히 전술 조정한 네카오, 내실 다졌으니 돌격 앞으로 25.03.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