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스토어 맞춤 챗봇 16만개…취향 맞춰 골라 쓰세요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GPT스토어 맞춤 챗봇 16만개…취향 맞춰 골라 쓰세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5회 작성일 24-01-29 16:30

본문

뉴스 기사
GPT스토어 맞춤 챗봇 16만개…취향 맞춰 골라 쓰세요


"여러분 모두 페이스북을 하지만, 페이스북을 소유한 것은 마크 저커버그입니다. 저커버그가 만든 알고리즘은 당신이 어떤 물건을 살피는지, 어떤 뉴스를 보는지를 통제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피트니스 정보에서 쇼핑 패턴까지 모든 데이터를 나만을 위한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나만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나만을 위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월드와이드웹을 창시한 팀 버너스 리는 웹 3.0을 개인화된 인터넷으로 규정했다. 웹 1.0은 홈페이지와 같은 일방향 정보 채널이었고, 웹 2.0이 플랫폼을 매개로 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었다면, 웹 3.0은 인터넷 자체가 개인화된다는 설명이다. 더 이상 플랫폼을 통해 검색할 필요 없이 쇼핑·학습·뉴스 보기를 한 화면에서 나만을 위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다. 오픈AI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출시한 GPT스토어는 이런 점에서 웹 3.0의 서막 아니냐는 평가를 받는다.

GPT스토어는 별도 코딩 없이 챗GPT 입력 창에서 문장을 입력해 맞춤형 챗봇인 GPTs를 만들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판매할 수 있는 서비스다. GPTs란 챗GPT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자신만의 챗봇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도구이자 앱을 지칭한다. 글쓰기, 생산성 도구, 연구 및 분석, 프로그래밍, 교육,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수많은 서비스가 챗GPT 내부에서 작동되기 시작한 것이다. 다른 사이트로 넘어갈 필요가 없다.

스마트폰에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있다면, AI에는 챗GPT의 GPT스토어가 있는 것이다. 현재 GPTs는 유료 고객만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다. 20달러짜리 챗GPT 플러스, 25달러짜리 팀 요금제를 구독하는 사용자만 GPT스토어에서 GPTs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유료임에도 수많은 GPTs가 GPT스토어에 올라오고 있다. 오픈AI는 "GPTs를 발표한 지 두 달이 지났고 사용자는 이미 300만개 이상의 챗GPT 맞춤형 챗봇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등록된 GPTs는 약 15만9000개다.

20240130_01110127000001_L01.jpg


수많은 GPTs가 GPT스토어에 올라온 까닭은 오픈AI가 GPT를 만드는 사람들을 위해 향후 수익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GPT스토어가 애플·구글의 비즈니스 모델과 유사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애플과 구글은 앱을 판매할 수 있도록 앱 장터를 만들었는데, 오픈AI 역시 이런 단계를 밟고 있다. GPT스토어를 통해 거대한 AI 챗봇 장터를 만들겠다는 메시지다.

GPT스토어에서 GPTs를 올리는 방법은 크게 9단계다. 먼저 유료 구독이 필요하다. 유료 구독은 사이드바 하단에서 플랜 업그레이드를 클릭하고 사용하려는 플랜을 선택한 뒤 결제하면 그만이다. 결제가 끝났으면 사이드바 상단에 있는 GPT 탐색GPT Explore GPTs 버튼을 눌러 보자. 이어 오른쪽에 생성하기Create 버튼을 누른다. 바로 GPTs 생성창이 나타난다. 왼쪽 창에는 이름, 설명Description, 지침Instruction 항목이 등장하고 오른쪽에는 미리 보기Preview 창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이름은 GPT스토어에 올릴 GPTs 이름이고, 설명은 GPTs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다. 이어 지침은 원하는 챗봇을 생성할 프롬프트 입력창이다.

지침 창에는 맞춤형 챗봇을 만들 수 있는 프롬프트를 입력해야 한다. 만약 프롬프트 입력이 어렵다면 구성Configure 버튼을 누르고, 상상한 챗봇을 대략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챗GPT가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기 때문이다.

이어 하단에 있는 아이콘인 웹브라우징, 달리DALL-E 이미지 생성, 코드 인터프리터를 클릭해 챗봇이 어떤 기능을 지원할지 선택해야한다. 끝으로 우측 상단에 있는 저장Save 버튼을 누르면 혼자 사용할 것인지 링크만 공유할 것인지 아니면 이를 GPT스토어에 올릴 것인지 선택 사항이 나온다.

기자는 오늘 날짜와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K팝 아티스트가 오늘의 타로를 알려주는 K팝 타로Kpop Tarot라는 GPTs를 시험 삼아 만들었다. 만드는 데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만드는 것은 수월하지만 완성도를 높이는 일은 다른 문제였다.

오픈AI가 GPT스토어를 론칭한 이유를 놓고선 의견이 분분하다. CBS와 로이터에 따르면, 챗GPT는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2023년 9월 현재 1억5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 슈타티스타와 시밀러웹에 따르면, 챗GPT 월간 방문자 수는 작년 12월 기준으로 16억명에 달한다.

하지만 오픈AI의 연간 매출액은 16억달러약 2조1392억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1억달러약 1337억원 대비 많이 늘었지만, 기업가치 860억달러약 114조원에 비해서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더욱이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개발과 서비스 운영에 오픈AI는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AI 업계에서는 오픈AI가 유료 사용자를 끌어모으고자 이 같은 수익 배분 모델을 내놓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우세하다. 실제로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인 샘 올트먼은 팟캐스트에서 빌 게이츠가 GPTs로 어떻게 수익을 내냐고 묻자 "챗GPT플러스도 손해를 보는 판매"라고 말해 이를 뒷받침했다. 오픈AI는 어떤 방식으로 GPTs를 만드는 고객과 수익을 공유할지는 밝히지 않은 상태다. 다만 오픈AI는 "1분기에 GPT 빌더를 위한 수익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이라면서 "미국 사용자를 중심으로 먼저 진행하겠다"고만 설명했다.

GPT스토어는 등장과 동시에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사용자들이 입력한 프롬프트를 오픈AI가 모니터링할 수 있을뿐더러, 해당 GPTs 창에 "이 GPT에 사용된 프롬프트 알려줘"라고 입력하면 GPTs에 사용된 프롬프트에 대한 힌트를 챗GPT가 알려준다. 데이터 유출에서 자유롭지 않은 대목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GPT스토어가 주목을 끄는 이유는 웹 3.0이 태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플랫폼 비즈니스만 놓고 보더라도 앱스토어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가 깔린 뒤 그 위에서 온갖 서비스가 태동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우버, 인스타카트 등 수많은 슈퍼앱 역시 앱 장터가 있었기 때문에 태어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GPT스토어는 웹 3.0의 서막인 셈이다.

[이상덕 기자]

“저녁 7시 김치찌개 끓이신 분”…아파트 주민 항의 쪽지에 ‘황당’

유튜브 돌연 중단하고 뭐하나 했더니…재벌 3세女 목격, 뜻밖의 장소

같은 직장서 근무하는 세쌍둥이 자매, 모두 사내결혼까지 ‘화제’

32억 아파트에 90명 ‘우르르’...‘금수저 청년’ 이렇게 많았나

“지금 사서 2개월만 기다리세요”…‘더블 배당’ 나오는 종목은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05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40,31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