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이산화탄소 분해 성능 최고 세라믹 전해전지 개발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KAIST, 이산화탄소 분해 성능 최고 세라믹 전해전지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4-01 09:11

본문

KAIST, 이산화탄소 분해 성능 최고 세라믹 전해전지 개발KAIST 연구팀, 고성능 세라믹 전해전지 개발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유용 화합물로 분해할 수 있는 현존 최고 성능의 세라믹 전해전지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세라믹 전해전지SOEC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 등 유용한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에너지 변환 기술로, 효율성이 높아 주목받고 있지만 800도 이상의 작동 온도가 필요해 유지 비용이 많이 들고 안정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은 전기가 잘 통하는 초이온전도체를 기존 전극에 섞어 만든 복합 나노섬유 전극을 개발, 세라믹 전해전지가 더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했다.

나노섬유 굵기를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줄여 전극을 머리카락 굵기의 1천분의 1 수준인 100㎚나노미터·10억분의 1m로 제작, 전기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면적을 극대화했다.

이런 방법으로 세라믹 전해전지의 작동 온도를 낮춰 이산화탄소 분해 성능을 50%가량 높였다.

AKR20250401037700063_02_i.jpg복합 나노섬유 전극 모식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복합 나노섬유가 적용된 세라믹 전해전지는 기존 보고된 소자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이산화탄소 분해 성능인 1.25A/㎠제곱센티미터당 암페어, 700도 기준를 기록했다.

또 300시간의 장기 구동에도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했다.

이강택 교수는 "이산화탄소 저감뿐만 아니라 그린수소와 친환경 전력 생산 등 다양한 차세대 에너지 변환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 환경과 에너지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 and Energy 지난달 3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성폭력 피소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현장에 유서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자 때 교제 안해…수사기관 통해 검증"
"탄핵 관련 거짓말만은"…만우절 경계경보
장제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수훈선수에게 트로피 대신 계란…노르웨이 축구팀의 기발한 선물
美국방 "전투병과 체력 기준 남녀 동일해야"…기준 변경 지시
中 유명마술사 "한국이 문화 훔쳤다"…서경덕 "열등감 심해져"
중국콩으로 국내 재배 콩나물은 중국산일까?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머리 다친 20대 관중 끝내 숨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20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51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