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잎꾼개미는 전문 재단사…다리·감각털 이용해 잎 크기 조절"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사이테크] "잎꾼개미는 전문 재단사…다리·감각털 이용해 잎 크기 조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0회 작성일 23-06-23 09:35

본문

뉴스 기사
獨 연구팀 "잎꾼개미, 적절한 크기로 나뭇잎 자르는 메커니즘 실험으로 확인"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잎꾼개미가위개미는 잎을 자기 몸보다 몇 배나 크게 자른 뒤 줄지어 나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어떻게 잎을 적당한 크기와 무게로 자를 수 있을까?

잎꾼개미들은 뒷다리와 머리 감각털을 이용해 위치와 잎 두께, 방향을 측정하며 잎을 자기가 나를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자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이테크] quot;잎꾼개미는 전문 재단사…다리·감각털 이용해 잎 크기 조절quot;뒷다리로 위치 잡아가며 필름 자르는 잎꾼개미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잎꾼개미가 필름으로 만든 가짜 잎을 사용한 실험에서 뒷다리로 필름 가장자리를 잡아 위치를 잡고 필름을 자르기 시작한 뒤 몸을 회전하면서 타원형으로 필름을 자르고 있다. [Daniela Rom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 다니엘라 뢰머 교수팀은 23일 실험생물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에서 잎꾼개미들이 잎을 자르는 메커니즘을 얇은 필름으로 만든 가짜 잎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잎꾼개미는 잎을 잘라서 직접 먹지 않고 둥지 내 특정 장소에 쌓은 뒤 버섯을 재배해 먹는 농부 곤충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자기 몸무게의 최대 6배 정도로 잎을 잘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이 어떻게 잎을 자기에게 맞는 크기와 무게로 자르는지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다양한 두께의 필름에 으깬 가시나무 잎이나 장미 기름을 문질러 잎꾼개미가 좋아하는 가짜 잎을 만든 뒤 잎꾼개미가 가짜 잎을 자르는 모습을 촬영해 분석했다.

그 결과 잎꾼개미들은 잎 가장자리를 뒷다리로 잡아 자를 위치를 정한 다음 몸을 회전하면서 잎을 일정 크기로 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잎을 자르는 동안 머리의 감각털로 방향을 확인하고 잎 가장자리를 잡고 있던 다리를 옮겨가며 잎 절단 궤적을 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잎꾼개미들은 잎을 자르는 도중에 잎 두께가 변하면 절단 궤적을 변경해 잘리는 잎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빠른 적응력을 보였다. 연구팀은 0.13㎜ 두께의 필름 한 겹으로 만든 얇은 잎과 3겹을 겹쳐 만든 두꺼운 잎두께 0.38㎜을 이어 붙여 실험에 사용했다.


AKR20230623035800518_03_i.jpg잎 두께가 달라지자 절단 궤적을 바꾸는 잎꾼개미
[H. Heilman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잎꾼개미들은 처음에 가짜 잎 가장자리를 뒷다리와 가운데 다리로 잡고 잎을 자르기 시작한 다음 몸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둥근 호를 그리며 잎을 자르다가 몸이 가장자리와 거의 수직이 되었을 때 가장자리를 잡은 다리를 두 번째 뒷다리로 바꾸고 몸이 180도 회전될 때까지 잎을 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잎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다리를 구부려 입이 닫는 범위를 줄임으로써 잘리는 잎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 잎꾼개미가 잎 크기 조절에 가장자리를 잡고 있는 다리만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잎을 자라는 도중에 얇은 종이를 이용해 잎을 잡고 있는 다리가 떨어지도록 했다. 그러나 잎꾼개미들은 이후에도 거의 일정한 형태로 잎을 자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머리에 있는 감각털을 잘라낸 다음 잎 가장자리를 잡고 있는 뒷다리가 잎에서 떨어지도록 하자 잎꾼개미들은 방향을 완전히 잃고 이전의 타원형 절단 궤적을 벗어나 불규칙한 모양으로 잎을 잘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잎꾼개미들이 잎 가장자리를 잡고 있는 다리를 통해 얻은 위치 정보와 머리 감각털로 확보한 방향 정보 등을 합쳐 잎을 일정한 크기로 자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잎꾼개미들은 자기들이 들고 나를 수 있는 능력에 맞춰 잎을 자라는 것은 바로 이런 능력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AKR20230623035800518_04_i.jpg나뭇잎 자르는 잎꾼개미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scitech@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김미화 외도 주장 前남편 유죄…"중요 부분 허위사실"
김민재 몸값 856억원, 손흥민 713억원 제쳤다…아시아 넘버원
타이태닉 관광 잠수정 탄 5명, 전원 사망…내부 폭발한 듯
"같은 곳에서 비슷한 비극이라니…" 영화 타이타닉 감독 충격
타이태닉과 물에 잠긴 노부부…110년뒤 고손녀가 잠수정 탐사
25년만에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현실화…"지역가입자 지원 필요"
[투톺뉴스] "4인 가족이 축의금 5만원?"
"술마셨냐" 핀잔하는 암투병 장모 몸에 불붙여
기절한 뒤에도 계속 때려…서산 묻지마 폭행 가해자 송치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76
어제
882
최대
2,563
전체
415,1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