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보안 시장 키우려면 글로벌로 가야죠…스타트업 조력자 래빗 벤처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SW·보안 시장 키우려면 글로벌로 가야죠…스타트업 조력자 래빗 벤처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3회 작성일 23-07-23 15:55

본문

뉴스 기사
- 래빗 벤처스 국내 SaaS·보안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 아비람 제닉 SSD랩스 대표, 김창원 전 타파스엔터 대표 주도
- 국내 최초 SaaS·보안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전용 펀드


사진=래빗 벤처스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한국 소프트웨어SW·보안 스타트업들은 국내 시장에 갇혀 있습니다. 한번 자리를 잡은 후에는 글로벌 진출이 어려워집니다”

아비람 제닉 SSD랩스 대표는 최근 이데일리와 만나 “래빗 벤처스Rabbit Ventures”를 통해 시장 규모가 큰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며 ”국내가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을 시작하려는 스타트업에 투자하겠다“고 강조했다.

‘래빗 벤처스’는 아비람 대표와 김창원 전 타파스엔터테인먼트 대표가 설립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C’다.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보안 스타트업을 지원·육성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스타트업 요람’으로 불리는 실리콘밸리 ‘와이콤비네이터’, 국내 1호 스타트업 AC ‘프라이머’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간 전혀 접점이 없었던 두 인물은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하기를 바라는 마음 하나로 뭉쳤다. 이들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경험이 있는 창업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아비람 대표는 사이버 보안 강국으로 꼽히는 이스라엘에서 여러 글로벌 보안 기업을 설립·매각한 ‘연쇄 창업가’다. 그는 지난 1992년, 19세 때 세운 보안기업 ‘지테코Gteko’를 마이크로소프트MS에 1200억원 규모로 매각한 바 있다. 지난해에도 직접 설립한 글로벌 보안기업 ‘비욘드 시큐리티’를 미국 소재 보안기업 ‘포트라’에 넘겼다.

PS23072300330.jpg
아비람 제닉 SSD랩스 대표왼쪽와 김창원 전 타파스엔터테인먼트 대표사진=래빗 벤처스
김 대표는 삼성전자, 구글을 거쳐 지난 2012년 북미 최초 웹툰 플랫폼 ‘타파스 미디어’를 창업한 인물이다. 웹툰 ‘불모지’였던 북미에 최초의 웹툰 플랫폼 ‘타파스’를 설립한 ‘개척자’인 셈이다. 2년 전, 그는 회사를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매각했다. 이후 약 1년 반 동안 타파스엔터테인먼트 공동대표 겸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글로벌전략책임자CSO로 일했다. 올해 초 사임한 그는 현재 안식년을 갖고 있다. 사임 후 선보인 공식 행보는 이번 래빗 벤처스가 처음이다.

래빗 벤처스는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보안 스타트업을 지원·육성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프리시드Pre-Seed’ 단계에 있는 기업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국내에서 자리를 잡은 후 전 세계로 뻗어 나가기는 힘들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난 뒤 국내 시장으로 들어오는 건 쉽다는 의미다.

이는 이스라엘에서 태동한 많은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기도 하다. 아비람 대표는 “이스라엘 스타트업들은 처음부터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 곧바로 진출한다”며 “이스라엘 회사인지 추측할 수 없을 정도로 미국 시장에 집중한 뒤 마지막에 로컬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스타트업 대부분이 국내 시장부터 공략하지만, 글로벌 기업이 되기는 어렵다”며 “국내에 이미 고객이 있고 제품이 다 맞춰져 있으니 갑자기 글로벌 시장에 맞춰 바꿀 수가 없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래빗 벤처스는 SaaS와 보안 스타트업만을 지원한다. 소프트웨어SW 기술의 경우 각 국가별 특성에 상관없이 통용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B2B SaaS와 보안 분야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유리한 점이 있다”며 “개인간거래B2C의 경우 문화적 차이가 걸림돌이 될 수 있지만, SW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래빗 벤처스가 만든 펀드는 약 30~40억원 규모다. 투자 금액이 크진 않지만 미국, 이스라엘, 유럽 등에서 손을 잡은 글로벌 파트너들이 컨설팅, 멘토링 등을 지원을 해준다. 이미 투자 대상으로 확정된 기업들도 있다. 사전 학습 언어모델GPT 애플리케이션앱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겟GPT’와 정보보안 이벤트 관리SIEM 솔루션 전문기업 ‘테이런Teiren’ 등이다.

아비람 대표는 “국내 SaaS와 보안 시장은 규모가 작고, 작은 회사들이 잘될 수 없다”며 “글로벌 시장 공략 방법을 모르지만 좋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범행 후 태연히 쉬던 신림 흉기난동범, 사이코패스 가능성은
☞ 모자 푹 눌러쓴 신림동 흉기난동 피의자…죄송하다 반복
☞ 69억 빚 청산한 이상민, 이사간 서울집은 어디?[누구집]
☞ 1630명 탑승한 中 고속철…벼락 맞고 추락했다[그해 오늘]
☞ [단독]오세훈표 안전도시 구상…비 오면 무용지물 도로 차선 싹 바꾼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가은 7rsilv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99
어제
812
최대
2,563
전체
423,43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