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장 밝은 개밥바라기 금성이 뜬다 > IT/과학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IT/과학기사 | natenews rank

올해 가장 밝은 개밥바라기 금성이 뜬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3-07-06 09:05 조회 117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일몰 후 서쪽 하늘에…이번주가 최적 관측 기간

7일 저녁 9시 서쪽 하늘의 금성 위치도. 금성 위쪽으로 화성과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레굴루스가 있다. 스텔라리움


우리 조상들은 저녁에 뜨는 금성을 개밥바라기라고 불렀다. 개밥바라기란 개의 밥그릇이란 뜻이다. 배가 고파진 개가 저녁밥을 달라고 짖을 무렵에 뜬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요즘 올해 가장 밝은 개밥바라기 별이 저녁 서쪽 하늘에 뜨고 있다. 수시로 구름이 하늘을 덮는 장마철이라 여건은 좋지 않지만 6~9일 중 일몰 후가 최적의 관측 기간이다.

금성은 하늘에서 태양과 달에 이어 세번째로 밝은 천체다. 보름달의 겉보기 밝기는 -12.5등급, 금성은 최대 -4.9등급이다. 금성 다음으로 밝은 목성의 밝기는 -2.9등급이다. 참고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밝기는 7.2등급이다.

태양의 반사빛을 내는 행성의 겉보기 밝기는 지구와의 궤도상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와 가까울 때 하늘에서 가장 크게 보이고 밝기도 가장 밝다.

지구와 금성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태양을 공전한다. 금성은 내합에 도달하기 72일 전 저녁 하늘에서 동방 최대이각에 도달하고, 내합 72일 후 아침 하늘에서 서방최대이각에 도달한다. 금성이 가장 밝은 때는 최대이각과 내합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earthsky


올해 초보다 2배 밝아진 금성

금성이 지금 바로 그 위치에 있다. 천문관측 정보 웹사이트 <어스스카이> 에 따르면 7월 중 금성의 겉보기 지름은 33각초1각초=3600분의 1도에서 55각초로 커진다. 보름달이 1800각초0.5도이니 55각초는 보름달의 3%에 해당하는 크기다. 점차 밝아지는 금성은 이번 주말 겉보기 밝기 등급이 -4.7에 도달하면서 정점을 맞는다. 관측 가능한 시간은 일몰 후 약 2시간이다.

금성이 저녁 하늘에 개밥바라기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건 2022년 10월22일 지구-태양-금성이 일직선을 이루는 외합에 도달하고 약 두달이 지난 12월 중순부터다. 이 무렵의 금성은 지구에서 가장 멀리 있어서 가장 작고 밝기 등급도 가장 낮다. 당시 금성의 밝기는 -3.9등급이었다. 1개 등급의 밝기 차이는 약 2.5배다. 올해 들어 2배 이상 밝아진 셈이다.

2004년 2월27일~6월8일 사이에 촬영한 금성 사진. 멀리 있을 땐 보름달 모양, 가까이 있을 땐 초승달 모양이다. Statis Kalyvas/ ESO


달과 마찬가지로 모양이 변하는 금성

금성은 지구 안쪽에서 궤도를 도는 내행성이어서 태양 빛을 반사하는 각도에 따라 달과 마찬가지로 모양이 바뀐다. 처음 서쪽 하늘에 모습을 드러낼 때의 모양은 보름달이다.

이후 지구와 점차 가까워지면서 동방최대이각에 도달하면 반달 모양이 된다. 최대이각이란 금성이 지구에서 볼 때 태양에서 가장 많이 떨어져 있는 때의 각거리를 말한다. 동방최대이각은 태양의 동쪽에 있다는 뜻이다. 금성은 지난 6월4일 동방 최대이각에 도달했다.

2022년 10월~2024년 10월의 금성 밝기 등급 변화. the skylive


금성이 가장 밝게 빛나는 때는 최대이각 위치를 지나고 약 한 달 후다. 이때의 금성은 지구쪽을 향한 표면의 26%만 빛나는 초승달 모양이다. 달은 보름달일 때 가장 밝지만 금성은 초승달 모양일 때 가장 밝다. 지금 금성이 바로 그 지점에 와 있다.

금성은 앞으로 점점 지구와 가까워져 8월13일 지구-금성-태양 순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내합에 도달한다. 이때 금성은 지구와 가장 가깝지만 일몰 후 저녁 하늘에서는 사라져 버린 뒤다.

북위 40도 지역에서 본 금성의 2023년 1~7월 저녁 하늘 위치와 모양의 변화. 매월 1일, 11일, 21일의 위치를 표시했다. earthsky


8월 하순 ‘샛별’ 금성으로 다시 등장

8월 초 이후 사라진 금성은 8월 하순 새벽 동쪽 하늘에 샛별로 다시 나타난다. 지금과 같은 밝기의 금성은 9월19일 새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이날 금성의 밝기는 -4.8 등급이다. 이후 한달 뒤인 10월23일 서방최대이각 지점에 도달한다.

샛별 금성은 2024년 3월까지 계속 볼 수 있다. <어스스카이> 에 따르면 9월19일 이후 이렇게 밝은 금성을 보려면 2025년 2월까지 기다려야 한다.

금성의 공전주기는 225일, 지구의 공전주기는 365일이다. 따라서 금성과 지구가 같은 위치에서 다시 만나기까지는 19개월이 걸린다. 이를 회합주기synodic period라고 부른다. 19개월 중 절반은 저녁 서쪽 하늘에서, 나머지 절반은 새벽 동쪽 하늘에서 금성을 볼 수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당하는 죽음’ 말고 ‘맞는 죽음’ …“영정사진 예쁘게 찍어줘유”

IAEA, 오염수 시료분석 못 끝냈다…신뢰성 ‘자해’ 보고서

석탄 흥망성쇠 함께한 ‘어린 광부’…“태백에 아직 사람 살아요”

일본 기자가 이강인 비꼬자 감싼 음바페? 1100만명이 속았다

‘베이비박스’에 아기 두고 가도 영아유기…유무죄 가른 요인은

[단독] ‘10대 마약’ 수백명 늘 때, 재활 참여는 17명 그쳤다

하수도관 팠다가 천년고찰 보물단지 찾았다

윤 대통령의 ‘카르텔’ 타령은 무한증식 중…‘법조 카르텔’ 빼고

12살이 잉어 문신…“끓는 라면냄비 덴 고통” 참고, 지운다 [영상]

‘강제동원 공탁금’ 줄줄이 불수리…법적 오류까지 ‘졸속’ 천지

한겨레>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스스카이> 어스스카이>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