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번호 대신 인스타 계정 주고받는 요즘 청소년"
페이지 정보
본문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로고/사진=각 홈페이지 캡처
최근 청소년들이 새롭게 알게 된 사람과 주고받는 연락처로 전화번호 대신 SNS 계정을 활용한다는 금융기관 리포트가 나왔다.23일 우리은행이 발간한 청소년 라이프스타일 보고서에는 청소년들의 70.3%가 연락처 교환 방식복수응답이 SNS 계정 교환이라는 조사 결과가 담겼다. 전화번호 교환은 57.5%에 그쳤다.
보고서는 "예전에는 전화번호를 주고받는 것이 당연했지만 요즘 청소년들은 SNS 계정을 사용한다"며 "전화에 부담을 느끼는 콜 포비아 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NS 계정으로는 97.5%가 인스타그램을 선택했고, 카카오톡 계정을 공유하는 비율은 15.8%에 그쳤다.
연락 대상에 따라 연락을 주고받는 앱이 다른 경향도 나타났다.
우선 부모님과 연락할 때 카카오톡을 사용한다는 응답비율은 94.2%였다. 오프라인에서 대면하는 친구와 소통할 때는 인스타그램을, 인터넷 상에서 만난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는 트위터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각 플랫폼의 특성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X트위터는 익명성이 강해 관심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인스타그램은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소통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신저를 조사복수 응답한 결과, 카카오톡이 89.6%, 인스타그램이 84.1%로 나타났고, X트위터가 16.1%로 뒤를 이었다.
청소년들이 ‘안 봐도 유튜브’라는 표현을 기성세대의 ‘안 봐도 비디오’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는 내용도 눈길을 끌었다. 보고서는 "그만큼 유튜브가 청소년들의 일상에 깊이 자리 잡았다는 걸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청소년들이 콘텐츠를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쓰는 앱은 유튜브가 85.7%, 인스타그램이 80.0%로 압도적이었다. 다음으로 X트위터가 34.5%, 틱톡이 29.9%, 페이스북이 4.7% 순이었다.
각 앱에서 소비하는 콘텐츠 유형은 달랐다. 유튜브에서는 취미나 학업과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면 틱톡에서는 재미있거나 화제성 있는 콘텐츠를 즐겨봤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HBM 날개 단 SK하이닉스, 작년 4분기·연간 사상 최대 실적 썼다종... 25.01.23
- 다음글"다음에도 내 딸로 와줘" 엄마의 마지막 부탁…4명에 새 삶 선물한 사...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