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협회 "상장폐지 제도 개선, 업계에 매우 고무적"
페이지 정보

본문
매출 당장 내기 어려운 바이오에는 고무적 소식
[파이낸셜뉴스] 한국바이오협회는 23일 최근 상장 기업의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이 발표된 것에 대해 바이오업계를 대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초기 바이오 기업 대부분은 상장을 하더라도 적정 매출액을 만들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 위협이 컸는데,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상당 부분 완화가 됐기 때문이다.
바이오협회는 "지난 2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공동 세미나’에서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이 발표됐고, 협회는 이번 방안이 시장 건전성 강화 및 상장 바이오기업의 가치증대를 염두에 두고 개편한 것에 대해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현재 매출발생 및 미래성장성 모두를 증명해야 했던 바이오기업들에게 최소 시가총액인 300억의 2배, 즉 600억원을 달성하는 경우 매출기준을 면제하여 준다는 ‘매출액 요건 강화와 함께 완충장치 도입’은 매출 발생 및 이익 실현까지 타 산업에 비해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바이오산업의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매우 고무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개편안은 최근 기술성특례상장 바이오기업들이 매출액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본업과 무관한 사업으로 진출하거나 인수하는 사례들을 방지하고, 신약 개발연구에 집중하여 본질적인 사업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 점에서 시장 평가를 존중한 긍정적인 조치"라고 덧붙였다.
다만 관리종목 지정 기준인 법차손 법인세 비용차감 전 계속사업손실 관련 사항에 대한 대책은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협회는 "매출액 기준과 흡사한 원리를 적용해 일정 시가총액 충족 시 면제 방안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을 제안한다"며 "이를 토대로 국내 바이오기업이 혁신 기술을 발빠르게 개발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나아갈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女아나운서 "나체 男연예인이 침실로.." 성상납 폭로
→ 여성과 모텔 간 남편, 아내와 부부관계 하다가 "야동에 나오는 여성과.."
→ 경기도 아파트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 알고보니 무안공항의...
→ 송혜교 "다 벗고 수건으로 얼굴 가렸더니 못 알아봐"
→ "불륜 임신 김민희, 한밤중 혼자.." 의외의 장소서 목격
![]() |
[파이낸셜뉴스] 한국바이오협회는 23일 최근 상장 기업의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이 발표된 것에 대해 바이오업계를 대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초기 바이오 기업 대부분은 상장을 하더라도 적정 매출액을 만들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 위협이 컸는데,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상당 부분 완화가 됐기 때문이다.
바이오협회는 "지난 2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공동 세미나’에서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이 발표됐고, 협회는 이번 방안이 시장 건전성 강화 및 상장 바이오기업의 가치증대를 염두에 두고 개편한 것에 대해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현재 매출발생 및 미래성장성 모두를 증명해야 했던 바이오기업들에게 최소 시가총액인 300억의 2배, 즉 600억원을 달성하는 경우 매출기준을 면제하여 준다는 ‘매출액 요건 강화와 함께 완충장치 도입’은 매출 발생 및 이익 실현까지 타 산업에 비해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바이오산업의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매우 고무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개편안은 최근 기술성특례상장 바이오기업들이 매출액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본업과 무관한 사업으로 진출하거나 인수하는 사례들을 방지하고, 신약 개발연구에 집중하여 본질적인 사업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 점에서 시장 평가를 존중한 긍정적인 조치"라고 덧붙였다.
다만 관리종목 지정 기준인 법차손 법인세 비용차감 전 계속사업손실 관련 사항에 대한 대책은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협회는 "매출액 기준과 흡사한 원리를 적용해 일정 시가총액 충족 시 면제 방안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을 제안한다"며 "이를 토대로 국내 바이오기업이 혁신 기술을 발빠르게 개발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나아갈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女아나운서 "나체 男연예인이 침실로.." 성상납 폭로
→ 여성과 모텔 간 남편, 아내와 부부관계 하다가 "야동에 나오는 여성과.."
→ 경기도 아파트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 알고보니 무안공항의...
→ 송혜교 "다 벗고 수건으로 얼굴 가렸더니 못 알아봐"
→ "불륜 임신 김민희, 한밤중 혼자.." 의외의 장소서 목격
관련링크
- 이전글"스케이트 영상 찾아줘" 물으면 인공지능이 찾아준다 25.01.23
- 다음글"2027년까지 바이오 인재 11만 명 양성"…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