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 3사,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향상
페이지 정보

본문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서비스가 전년 대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이동통신 3사와 휴대전화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측정에서는 단말기의 위치설정GPS과 와이파이 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일시적으로 켜고 위치정보의 신속성과 정확도를 평가했다.
기지국 방식의 경우 위치정확도가 52.3m에서 25.0m로, 응답시간은 3.0초에서 1.4초로 크게 개선됐다. 와이파이 방식 역시 모든 지표에서 향상을 보였는데, 위치기준 충족률은 96.8%에서 98.9%로, 정확도는 20.1m에서 18.7m로, 응답시간은 4.2초에서 2.4초로 단축됐다. GPS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97.7%→99.0%과 응답시간4.6초→1.7초은 개선됐으나, 정확도는 11.3m에서 12.7m로 다소 하락했다.
통신사별로는 SKT가 GPS와 와이파이 방식의 위치기준 충족률에서 각각 99.8%와 99.5%로 최고 성적을 거뒀다. 위치정확도는 기지국 방식에서는 KT22.3m, GPS 방식과 와이파이 방식에서는 SKT가 각각 8.6m, 14.5m로 우수했다. 응답시간은 모든 방식에서 KT가 가장 빨랐다.
한편, 애플이나 샤오미 같은 외산 단말기는 기지국 위치정보는 제공하지만, 와이파이 기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3사의 측위 기능이 탑재돼있지 않아 제공되지 않았다. 다만 샤오미 단말기는 특정 조건에서 GPS 정보를 제공하도록 부분 개선됐고, 애플 단말기는 긴급통화 중이거나 종료 후 5분까지 자체적으로 계산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관련기사]
☞ 백종원, 자연산 새우 썼다더니…또 고발당했다
☞ 법 바뀐 줄 몰랐다가…1200억 복권 당첨금 한 푼도 못 받을 판
☞ 경비원 폭행 배달기사 말린 입주민…알고보니 에픽하이 투컷
☞ "손님 더 끌려고"…훠궈에 마약류 섞은 향신료 넣은 식당
☞ "몇 수 앞을 내다본 거냐" 전국 산불 2주 전 충주맨 영상 화제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오락가락 토허제, 들썩이는 부동산?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IT썰] 75개국 4000개 매장 거느린 패션 왕국, AI 아바타 모델 쓴다 25.03.28
- 다음글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국내 진출 임박…상반기 내 서비스 예상 25.03.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