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대성공인데 연봉은 고작…" 한국 우주연구원, 미국보다 10배 이상 ...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누리호 대성공인데 연봉은 고작…" 한국 우주연구원, 미국보다 10배 이상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8회 작성일 23-05-26 10:41

본문

뉴스 기사
항우연 4400만원 vs 스페이스X 5억원


20230526000235_0.jpg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소속 위성운영부 직원들이 관제실에서 인공위성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헤럴드경제=양대근·한영대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25일 3차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에서도 ‘뉴 스페이스민간 우주 개발’ 시대의 서막이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우주 개발의 중심축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빠르게 이동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우주 인재들에 대한 처우 개선과 체계적인 육성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한국판 나사NASA·미 항공우주국로 불리는 우주항공청 소속 연구원의 연봉상한을 없애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23년 정부혁신 종합계획’을 지난달 발표했다. 하지만 앞서가는 다른 우주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좀 더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항우연의 석사 초봉은 4379만원이다. 항우연의 평균 연봉 순위는 25개의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21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나사의 전문 연구원들은 기본 연봉으로 약 2~3억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경우 석사 출신 초봉이 한화로 약 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고 수준 연구원들의 경우 이보다 수배가 넘는 연봉을 더 받는 상황이다.

이처럼 낮은 처우 등의 여파로 ‘젊은 피 유입’도 더뎌지는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2 우주산업실태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에서 우주산업에 참여하는 연구기관 전체 인력은 1175명이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민간 우주산업 인력의 수는 15만1797명에 달한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국내 연구인력 숫자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미국에서는 매년 전년 대비 2~3%포인트에 달하는 우주 연구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 관련 학과 한 교수는 “신입생들의 약 40% 정도가 의대를 가기 위해 재수를 준비하거나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 국가 주도로 우주 인재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우주에서 거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뒀지만 지금은 ‘우주 굴기’를 목표로 소프트파워 분야까지 영역을 넓혀 폭넓은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도 이르면 연말께 우주항공청이 본격 설립되면 전문 연구원들이 차관급에 해당하는 우주항공청장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기준 차관급 공무원 연봉은 약 1억3500만원 선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최근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최고 인재 확보와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이 지목됐다”면서 “관련 제도와 장치 등을 특별법과 하위법령을 통해 정교하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230526000236_0.jpg



bigroot@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먹어도 되는 거죠?” 한 그릇에 6만4000원 ‘바다 바퀴벌레’ 라멘 봤더니
▶ 교실서 상담하다 “키스는 괜찮지 않아?” 여고생 추행한 40대 교사
▶ 혈액암 투병 안성기, 건강 회복?... 환한 얼굴로 들꽃영화상 시상식 참석
▶ "치매남편 면회때마다 울었다"…요양원, 기저귀 속 주요부위 비닐로 묶어
▶ “3억 잃고 5천 또 샀다” 지금껏 10억 썼는데…이게 진짜 오른다고?
▶ “음식 배달비 6천원, 말이 돼?” 배달비 ‘O원’ 등장, 결국 난리났다
▶ 이선희, 회삿돈 횡령 의혹 조사 중…“사실관계 소명할 것”
▶ ‘흰머리 가득’ 유아인, 두손 묶이고 커피병 맞고 ‘수난’…팬들 “고생 많았다”
▶ 김흥국 막내딸 美 대학 졸업…“가족과 얼싸안고 감동의 눈물”
▶ 박은혜 이혼 심경 “1년은 자유, 3년차엔 남편 필요 느낄수도”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92
어제
910
최대
2,563
전체
416,2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