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정부, 오염수 감시자 역할 지속하며 국민 신뢰 높여야"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전문가들 "정부, 오염수 감시자 역할 지속하며 국민 신뢰 높여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5회 작성일 23-07-04 17:47

본문

뉴스 기사
- IAEA 日에 오염수 방류 계획 안전 최종보고서 전달
- 전문가들, 정부에 지속적 감시 활동 필요 강조
- IAEA 협력해 현장 감시하고 데이터 확보
- 수산물은 수입 제한으로 국민 불안 낮추고 소통 확대해야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국내 전문가들은 국민의 불안을 덜고 신뢰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적 근거만으로 설득하기보다 수산물 등에 대한 현재의 불안은 덜 수 있도록 하며 오염수 관리에 대한 장기적인 감시자의 역할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4일 후쿠시마 해역에 오염수를 방류하려는 일본 정부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내용을 담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됨에 따라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 방류도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국내 전문가들은 IAEA 보고서를 신뢰해야 한다면서도 국민이 불안해하는 만큼 후쿠시마산 해양수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등 정부가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편, 앞으로 IAEA와 함께 현장 감시를 이어나가며 지속적인 검증을 통해 신뢰를 높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 quot;정부, 오염수 감시자 역할 지속하며 국민 신뢰 높여야quot;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이 타당하다는 내용을 담은 최종 보고서 발표가 임박했다.사진=IAEA
오염수 영향 미미…더 쉬운 용어로 국민과 소통 필요

먼저 국내 전문가들은 IAEA 보고서 내용은 신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한 오염수가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하다는 IAEA의 분석 결과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임박한 만큼 정부가 오염수에 대해 국민과 제대로 소통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오염수의 정화나 우리나라 해양, 인체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나 과학적 근거를 보다 쉽고 친밀하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강건욱 대한핵의학회 회장은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연구한 자료를 보면 한국으로 희석돼 흘러 오는 오염수는 앞으로 우리가 6000억년을 더 살아야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며 영향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국무조정실에서도 일일브리핑을 통해 설명하고 있지만 국민을 설득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대부분으로, 실제 연구에 참여한 실무 전문가들이 나서 더 쉬운 비유와 용어로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은 금지가 ‘효과적’…방류와 별개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IAEA 최종 보고서 발표 등과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문제를 별개로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후쿠시마산 수산물은 국민 불안감이 해소될 때까지 수입을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제언이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래 지금까지 국민이 가장 불안해하는 부분은 후쿠시마산 수산물의 수입 문제인데 현재 상황을 보면 과학적 상식은 무너지고 정치적 괴담만 남았다”며 “방류와 별개로 우리나라 주권으로 보고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IAEA와 과학적 협력을 활성화하는 모습을 보여 국민을 안심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아직 오염수 저장 탱크에 몇 달 치 여유가 있고, 일본 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있어 일본 정부의 실제 해양 방류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IAEA가 앞으로 바다 시료를 채취하고 시료 채취 결과가 예상대로 나왔는지 등을 검증할 계획이니 우리나라도 참여해 데이터를 공개하면서 국민과 소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백 회장은 “방류 이후 데이터를 국제 공동으로 확인해 과학적으로 안전성을 검증한다면 국민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결국 전문가들이 예상한 대로 적어도 우리나라 바다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IAEA와 협력하며 후속 조치를 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 ‘역전세난 겪는 연봉 5000만원 집주인, 대출 1.8억 더 받는다
☞ 왜 쳐다봐...술집서 처음 본 대학생 살해한 20대[그해 오늘]
☞ 악취 나요 신고에 출동해보니…초등생 덩그러니
☞ 배우자와의 재혼, 신뢰가 가장 무너지는 순간이요?
☞ 이삿짐 노린 할머니 강도단…전자기기 전선까지 싹 털었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강민구 science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54
어제
1,610
최대
2,563
전체
427,14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