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암 정복 AI 플랫폼 기업 도약 위해 MA 지속…실탄 마련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루닛, 암 정복 AI 플랫폼 기업 도약 위해 MA 지속…실탄 마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3회 작성일 24-03-22 10:01

본문

뉴스 기사
이 기사는 2024년03월21일 08시0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루닛328130이 암을 정복할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더욱 공격적으로 인수·합병Mamp;A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루닛은 메자닌 발행한도를 1조원으로 늘리는 등 관련 자금 확보에 나섰다.

루닛, 암 정복 AI 플랫폼 기업 도약 위해 Mamp;A 지속…실탄 마련
루닛 로고 사진=루닛
메자닌 한도 1조원으로 증액…Mamp;A 자금 확보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루닛은 오는 29일 정기주주총회를 열어 메자닌 발행한도를 총 1조원으로 늘리는 안건을 올릴 예정이다. 루닛이 상정할 제2-1호 의안은 전환사채CB 및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한도를 각각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확대하기 위해 정관 일부를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PS24032100318.jpg
루닛이 오는 29일 개최할 정기주주총회에서 상정할 제2-1호 의안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루닛은 지난해 11월 2000억원대 규모의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수혈했다. 그럼에도 이처럼 새로운 자금 수요를 대비한 것은 볼파라Volpara Health Technologies 인수를 결정한 것과 무관치 않다. 루닛은 지난해 12월 볼파라를 1억9307만달러약 2525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볼파라 인수에 쓰이는 자금은 사용 목적이 정해진 유증대금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 자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루닛 측도 이번 메자닌 한도 증액은 볼파라 인수대금으로 활용하고 남는 자금은 추후 Mamp;A를 지속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루닛 관계자는 “CB와 BW의 발행한도를 늘린다고 해서 해당 자금을 다 사용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케파CAPA를 늘려놓은 것”이라며 “Mamp;A를 지속하기 위한 자금”이라고 설명했다.

볼파라 인수로 내년 흑자 전환 기대

루닛은 오는 5월 볼파라 인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루닛은 볼파라 인수를 통해 미국 시장 유통채널을 구축, 미국 시장 진출 교두보를 확보했다. 또한 100% 자회사 편입을 통한 손익 구조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PS24032100319.jpg
루닛은 오는 5월 볼파라 인수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다. 사진=볼파라 홈페이지 갈무리
볼파라 인수를 통한 손익 구조 개선 효과는 올해부터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루닛은 최근 3년간 매출이 2021년 66억원→2022년 139억원→2023년 251억원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457억원→507억원→422억원으로 매출 증가에 비해 감소 속도가 빠르진 않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볼파라 인수 효과로 적자 폭이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하반기 볼파라의 EBITDA는 -135만9000NZD한화 약 -11억원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하반기 -6100만NZD-495억원에 비하면 적자 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EBITDA는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이다.

이처럼 EBITDA가 빠르게 개선된 데에는 볼파라의 매출이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63%를 기록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해온 덕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3년간 볼파라의 매출은 2021년 1970만NZD약 160억원→2022년 2610만NZD약 212억원→2023년 3500만NZD약 284억원로 집계됐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회계연도는 7월1일부터 이듬해 6월30일까지다. 2022년 7월~2023년 6월 매출 3500만NZD에 이어 지난해 하반기 매출 역시 1983만7000NZD약 1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만큼, 올해에도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루닛이 오는 5월 볼파라를 100% 자회사로 흡수하면 볼파라의 실적은 고스란히 루닛의 연결 실적으로 반영된다. 루닛은 내년이면 볼파라와의 통합 매출이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통해 루닛도 내년에는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계산이다.

Mamp;A 통해 AI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6월까지 CVC도 설립

더 나아가 루닛은 볼파라 인수를 계기로 기존 AI 솔루션 기업에서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루닛이 목표로 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이란 진단, 치료, 모니터링 등 암 치료 전 주기에 걸쳐 암 정밀의학을 실현하는 기업을 뜻한다. 궁극적으로는 AI를 통해 암을 정복할 수 있는 플랫폼 기업이 되는 게 루닛의 최종 목표다.

이를 위해 의료 생태계 내 의료인, 환자, 의료기업을 연결하는 것도 계획하고 있다. 루닛은 환자가 의료기관에 진료를 접수했을 때부터 치료를 마칠 때까지 모든 작업 흐름work flow을 자동화시키는 초거대 AI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볼파라 인수는 이를 위한 첫 발걸음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처럼 Mamp;A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다양한 만큼, 루닛의 Mamp;A 행보는 계속될 전망이다. 루닛의 Mamp;A는 ‘2033년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5조원’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기도 하다. 이 같은 목표치에 도달하는 속도를 높이는 데에 Mamp;A가 동력이 될 수도 있다.

루닛은 Mamp;A에 더욱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올 상반기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설립에 나선다. 루닛은 오는 6월까지 국내에 CVC ‘루닛 CVC’Lunit CVC를 설립해 Mamp;A 매물 탐색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루닛이 Mamp;A 매물로 눈여겨 보는 대상은 글로벌 AI·헬스케어 기업으로 공급사슬 내 유사 스타트업도 포함된다. 또한 신기술을 스크리닝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 루닛은 CVC 운영을 통해 기술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신사업 진출 등 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수시로 점검할 계획이다.

루닛 관계자는 “루닛은 의료 AI 플랫폼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신기술·신시장을 탐색하고 기업가치를 창출할 CVC를 설립하고자 한다”며 “CVC 운영이 중장기적인 수익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60년대생이 온다”…은퇴 베이비부머 매물 쏟아지나
☞ 사우나·왁싱·염색까지…오재원, 치밀하게 증거인멸 해왔다
☞ 인도서 ‘집단 성폭행 당한 커플 유튜버 “후회 안 한다”
☞ 여학생·여교사 얼굴 나체 사진에 합성…남학생들, 교실서 돌려봤다
☞ ‘하반신 마비 유연수 “음주 가해자, 껄렁껄렁하게 재판장 왔다더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새미 bir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7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8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