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누리호 위성, 충돌 위험 크다…비좁은 550㎞ 지구궤도"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단독] "누리호 위성, 충돌 위험 크다…비좁은 550㎞ 지구궤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0회 작성일 23-06-13 00:51

본문

뉴스 기사



[최준호의 사이언스amp;] 위성간 충돌 현실화할까
영화 승리호에 등장한 우주쓰레기.최근 군집위성의 연이은 발사로 SF영화 승리호의 상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 메리크리스마스]

영화 승리호에 등장한 우주쓰레기.최근 군집위성의 연이은 발사로 SF영화 승리호의 상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 메리크리스마스]

지난달 25일 오후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기 직전, 누리호 인공위성의 사고 위험을 주장한 공학자가 있었다. 한양대 기계공학과의 김덕수 교수였다. 그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 등 누리호가 쏘아올리는 8개의 인공위성이 지구궤도 550㎞를 돌고 있는 미국 스페이스X의 군집위성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아주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을 지난 1일 부산 해운대 조선호텔에서 열린 ‘제8회 초소형위성 워크샵’에서 발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인공위성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스페이스맵’의 대표를 겸직하고 있다. 위성의 충돌예측·회피·통신간섭예측 등이 주요 서비스다. 2016년에는 미 공군의 3년짜리 관련 연구 과제도 수행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고도 550㎞의 지구 저궤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군집위성 4000대가 매 90분마다 한 번 지구를 돌고 있는 등 지구 저궤도 중 가장 복잡한 곳”이라며 “누리호 위성들은 북극과 남극을 잇는 극궤도를 돌면서 스타링크 위성들과 45도 또는 135도 각도로 만나게 되는데, 이대로 가면 두 위성군이 향후 1년 안에 한 대는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는 추력기가 달려 있어, 충돌 위험이 예측될 때는 회피기동을 할 수도 있지만, 큐브 위성들은 크기가 작고 성능이 제한돼 궤도수정을 할 수 없다.


태양광 이용 위해 현 고도 선택
스타링크 위성들과 같은 높이
“1년 내 한 개는 충돌할 가능성”
혼잡한 우주…관제 필요해지나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현한 지구 저궤도 상의 인공우주 물체 상상도. 밀도와 크기는 실제와 다르다. [AFP=연합뉴스]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현한 지구 저궤도 상의 인공우주 물체 상상도. 밀도와 크기는 실제와 다르다. [AFP=연합뉴스]

김 교수의 충돌 위험 주장에 대해 KAIST 관계자는 “스타링크와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궤도를 계산해보진 않았지만 아직 저궤도 속 위성간 공간이 넓기 때문에 실제로 충돌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군집위성으로 더 복잡해진 저궤도

확률이 높다고 반드시 일이 일어나는 건 아니지만, 누리호와 인공위성들은 왜 하필 목표고도를 저궤도 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550㎞로 잡았을까. 스타링크는 왜 또 550㎞ 고도의 궤도에 몰려 있을까. 지구관측 위성 등 저궤도 위성들은 고도 600~800㎞ 사이에 있는데, 스타링크처럼 위성 인터넷 사업을 위한 통신인공위성은 원활한 통신 품질을 위해 관측위성보다 더 낮은 500㎞대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500㎞ 아래로 더 내려올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엔 지구 중력의 영향을 더 받아 위성의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

누리호 인공위성들도 어쩔 수 없는 사연이 있다. 김해동 국립경상대 항공우주학부 교수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는 “전남 고흥에서 발사되는 누리호가 인접국가 상공을 피해 올라갈 수 있는 경사각과, 차세대소형위성 2호 등 우리 인공위성이 필요한 여명-황혼궤도를 고려하면 550㎞ 고도가 나올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여명-황혼 궤도는 위성이 24시간 동안 여명이나 황혼을 볼 수 있는 궤도로, 항상 일정한 태양 빛을 받을 수 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주목적은 영상 레이더 시험이다. 영상레이더는 통신위성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배터리 소모가 크다. 이 때문에 스타링크 군집위성 수천 대가 도는 궤도임에도 불구하고 태양 빛을 일정하게 계속 받는 여명-황혼 궤도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태양계 내에서 가장 비좁은, 즉 밀도가 높은 곳은 지구궤도다. 1957년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올라간 이후부터의 얘기다. 미국 우주사령부에 따르면 인공위성과 우주쓰레기를 포함한 ‘등록 인공우주물체’10㎝ 크기 이상만 4만8000개에 달한다. 1㎝ 이상은 약 100만개, 1㎜ 이상은 약 1억5000만 개로 알려져 있다. 지구 궤도 중에서도 가장 비좁은 곳은 대부분의 인공위성과 우주쓰레기가 떠 있는 고도 2000㎞ 이하의 저궤도다. 이들 인공우주물체는 초속 7.5㎞, 시속 2만7000㎞로 지구 둘레를 돌고 있다.

인류의 지구 밖 진출 어려워질 수도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인공우주물체는 앞으로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과 러시아 등 전통 우주강국 외에도 한국은 물론 아랍에미리트UAE·이스라엘 같은 중·소 국가들도 우주탐사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데다, 지구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군집화·소형화하는 경향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우주쓰레기 위협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 간 충돌 사례까지 생겨나고 있다. 2009년엔 미국의 550㎏ 급 통신위성 이리듐33과 러시아의 군사위성 코스모스 2251이 우주궤도인 790㎞ 상공에서 충돌했다. 당시 충돌 사고로 발생한 1800여 개의 크고 작은 파편은 지금까지 지구 주위를 떠돌고 있다. 이외에도 버려진 로켓이나 소형 인공위성의 부품 간 충돌사고는 가끔씩 일어나고 있다. 위성 간 충돌 위기까지 간 상황은 더 많다. 2021년 12월에는 중국 우주정거장이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과 충돌 직전까지 갔다가 회피기동을 해 간신히 사고를 막기도 했다. 2019년에도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이 유럽우주국ESA의 지구관측 위성 아이올로스와 충돌할 뻔한 적이 있다.

위성 간 또는 위성과 우주쓰레기 간 충돌 위험을 일찍이 예견한 과학자가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도널드 케슬러 박사다. 그는 1978년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들이 충돌을 반복해, 토성의 고리처럼 파손된 인공위성 잔해들이 지구를 감싸는 날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렇게 되면 인류가 지구 밖으로 진출하기는커녕,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모든 기술이 중지됨으로써 GPS, 위성 통신 등의 현대 기술 대부분을 쓸 수 없게 돼 인류 문명이 1960년대 중후반으로 후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른바 ‘케슬러 신드롬’이다.

정옥철 항우연 우주상황인식 연구실장은 “스타링크 외에도 영국의 원웹 등 적지않은 글로벌 기업들이 군집위성을 이용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어 저궤도를 중심으로 인공 우주물체들은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며 “항공 교통 관제처럼 이제는 우주 공간 상에서도 교통관제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준호 과학amp;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최준호 과학amp;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 논설위원

[J-Hot]

38세 여배우 만취운전…가드레일 들이박고 쿨쿨

"60대라고 갑자기 섹스리스 되겠나" 여성 4인 고백

29세 배우 박수련, 계단 낙상뒤 숨졌다…"장기기증"

"오빠 탈옥할게 기다려줘" 감방서 편지 보낸 20대 죗값

당황한 메시…"대만은 아냐?" 中공항 2시간 갇힌 사연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준호 joonho@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72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48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