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초전도체는 과학혁명, LK99 논란 별개로 연구 중요"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네이처 "초전도체는 과학혁명, LK99 논란 별개로 연구 중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6회 작성일 23-09-05 10:21

본문

뉴스 기사
- LK99 논란 별개로 관련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 영향
- 임계 전류, 임계 자기장 등 장벽 있지만 연구 필요
- LK99 진위 최종 결론 안나···국내외 학계는 부정적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우리나라 연구진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주장한 ‘LK-99’에 대한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초전도체는 과학혁명이고, 연구가 계속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네이처는 지난 1일 LK-99 논란과 별개로 초전도체가 과학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며 관련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글을 게재했다. 네이처는 “LK-99가 유발한 흥분의 물결은 재현실험 결과들이 나오면서 잠잠해졌지만 다양한 과학분야에서 초전도체가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우리나라 기업인 퀀텀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은 납 기반 물질인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 개발을 주장해 왔다. 해당 논문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올라온 뒤 학계와 SNS에서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미국, 독일, 중국 등 전 세계 연구진이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재현실험 결과를 발표하면서 잠잠한 상황이다.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저항 없이 전류를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 그동안 확인된 초전도체는 저온이나 극한 압력, 또는 둘 다에서만 특성을 나타낸다. 과학자들이 상온·상압에서 초전도성으로 전환이 일어나는 물질을 찾아 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연구진의 발표가 주목을 받았다.

네이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운영하는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를 예로 들며 LHC를 가동하는 데 필요한 극저온 시스템이 대체된다면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것처럼 초전도체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네이처는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과학계에 빠르게 혁명을 일으키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초전도체를 활용한 장치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양자컴퓨터 성능을 개선하려면 임계 전류와 임계 자기장도 함께 개선해야 한다. 지금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진 초전도체가 변화를 줄 수 있지만 다른 공학적 문제도 발생할 여지도 있다고 봤다.

한편, 네이처는 지난달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기사를 연달아 게재했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 검증위원회도 4차 브리핑에서 국내 8개 연구팀 중 4개 연구팀에서 LK-99 재현실험을 한 결과, 초전도 특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네이처 quot;초전도체는 과학혁명, LK99 논란 별개로 연구 중요quot;
네이처 보도 기사.자료=네이처


▶ 관련기사 ◀
☞ 벽돌로 무인점포 털려다가 되려 손등 찧고 “아악”
☞ “생명의 위협만 병가 가능” 공교육 멈춤의 날 교사가 받은 문자
☞ ‘초토화 하이쿠이 관통한 대만 실시간 현재 상황 [영상]
☞ ‘KG 레이디스 오픈 퀸 서연정 “대회 직전 바꾼 퍼터가 우승 일등 공신”
☞ 집 거실·병원 수술실 찰칵…SNS에 떠도는 사생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강민구 science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94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39,60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