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바이오USA서 해외 파트너 물색…"공동개발 논의"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셀트리온, 바이오USA서 해외 파트너 물색…"공동개발 논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5회 작성일 24-06-03 14:26

본문

뉴스 기사
내년 ADC 시설 가동 앞둔 롯데바이오로직스도 참여

셀트리온, 바이오USA서 해외 파트너 물색…quot;공동개발 논의quot;

셀트리온이 3~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제약 바이오업계 최대규모 박람회 바이오USA에 참가해 사업 파트너 물색에 나섰다.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이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박람회 ‘바이오USA’에 참가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3일 발표했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뿐 아니라 신약 개발 포트폴리오를 공유하고, 협력사와 공동개발도 논의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이날부터 오는 6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바이오USA에서 ‘짐펜트라’를 홍보하고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위한 잠재적 파트너를 찾을 예정이다. 셀트리온이 바이오USA에 참가하는 것은 올해가 15번째다.


짐펜트라는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를 피하주사SC제형으로 개발한 의약품이다. 지난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으로 승인받았고, 지난 3월 미국 전역에 출시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에 그치지 않고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자체 신약도 개발 중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후속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포트폴리오에 더해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네트워크, 의약품위탁생산CMO 시설 추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적 파트너를 물색할 것”이라며 “다양한 기업들과 소통해 사업 확대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바이오USA에 참가한 롯데바이오로직스 부스. 롯데바이오로직스 제공



롯데바이오로직스도 2022년부터 3년 연속 바이오USA에 참가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뉴욕에 있는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에서 4만L 규모의 항체의약품 원액 등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에 짓고 있는 ADC 생산 시설은 내년 가동이 목표다. 미국에서 항체-ADC 원스톱 서비스를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바이오USA에서는 지난 3월 첫 삽을 뜬 인천 송도의 바이오캠퍼스 1공장 청사진도 공개한다. 생산 규모는 12만L다. 김경은 롯데바이오로직스 사업개발부문장은 “바이오USA를 기점으로 더욱 구체적인 사업 전략을 제시하며 적극적인 파트너십 구축에 힘쓸 것”이라며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강점인 한국·미국 생산시설의 시너지는 글로벌 10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핵심 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36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17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