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미세먼지 삼총사 "일거에 해소"…고효율 촉매 나왔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겨울철 미세먼지 삼총사 "일거에 해소"…고효율 촉매 나왔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5-02-27 12:25

본문

- UNIST·생기硏·에기硏 공동 연구팀
겨울철 미세먼지 삼총사 quot;일거에 해소quot;…고효율 촉매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가 게재된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 표지 이미지.[UN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봄철 불청객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홍대 박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광영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미세먼지 전구물질 3종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미세먼지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암모니아NH3 등은 산업현장에서 주로 배출된다. 이들 전구물질은 공기 중에서 반응해 희뿌연 미세먼지 입자로 바뀐다.

특히 질소산화물은 세계적 방출량이 1억 톤에 이르는 데다 유독성이 크다. 이 질소산화물을 무해한 질소로 바꾸기 위해 암모니아를 넣어 촉매로 화학반응 시키는데,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암모니아가 다시 흘러나온다. 잔류 암모니아는 또 다른 촉매를 넣어 폐가스 속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제거한다. 이 같은 방식은 총 2종류의 촉매가 필요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설비 공간도 많이 차지했다.

[임세준 기자]


이번에 개발된 금속산화물 촉매Cu-Ni-Al 는 두 가지 촉매의 기능을 수행해 3종류의 전구물질을 동시에 제거한다. 제거 성능을 나타내는 전환율은 NOx, CO, NH3 각각 93.4%, 100%, 91.6%를 기록했다. 또 질소 선택도 또한 95.6%로 높았다. 질소 선택도가 높다는 것은 아산화질소와 같은 유해한 반응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았단 의미다.

연구팀은 이 촉매가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가스 배합 비율도 알아냈다. 동시 저감 반응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산화탄소 다과 환경에서 최적의 암모니아 주입 비율 등을 제시했다.

상업화를 위한 성능도 검증했다. 대량 생산된 가루 촉매를 실제 공장의 고유속 환경을 버틸 수 있는 덩어리 형태성형체로 만든 뒤 성능 테스트를 했을 때도 높은 전환율을 기록했다.

조승호 교수는 “개발된 촉매는 상대적 저온인 225 °C에서도 쓸 수 있고, 성형체로 제작된 상태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1월 21일 출판됐다.

[ 인기기사 ]
‘구독자 240만’ 빠니보틀 “생일파티에 1500만원 썼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30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73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