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피해 상담, 전년 대비 2배 증가
페이지 정보

본문
[아이뉴스24 서효빈 기자] 중고거래 사기나 사칭·피싱 사이트 등 사이버 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온라인 상담이 2배나 늘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27일 온라인피해365센터 상담건수가 지난 한 해 동안 3856건으로 집계돼 2023년 1811건 대비 113% 증가했다고 밝혔다.
온라인피해365센터 주요 상담 분야는 △재화 및 서비스 △통신 △콘텐츠 △권리침해 △불법유해 콘텐츠 △디지털 성범죄 △사이버 금융범죄 등 △사이버폭력 등이다.
지난 2022년 5월 문을 연 센터는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의 피해구제를 지원하는 대국민 접점 상담센터로, 매년 상담현황을 피해유형별·성별·연령별 등으로 분석해 주요 피해사례 등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 피해유형별 상담 건수는 재화 및 서비스 관련 상담이 1955건50.7%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사이버 금융범죄 등 1199건31.1%, 권리침해개인정보 침해 등 374건9.7%, 통신 236건6.1%, 콘텐츠 45건1.2%, 디지털 성범죄 25건0.6%, 불법유해 콘텐츠 20건0.5% 등의 순이었다.
피해유형별 주요 빈발 사례로는 △소비자 간 거래에서의 재화·서비스 미공급 등 계약 불이행1076건, 55.0% △사칭·피싱 사이트 등을 통한 사이버 사기747건, 62.3% △게임·대출·상거래 분야 누리소통망SNS·앱 등에서의 개인정보 침해·누설132건, 35.3% △통신서비스 가입 시 중요사항 미고지·허위고지71건, 30.1%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 피해 유형의 전년 대비 변화를 보면 사이버 금융범죄 유형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7.1%포인트했다.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건수 비율총상담건수 대비은 전년 대비 대폭 감소20.3%→11.7%했으나, 사칭 또는 피싱 사이트 등을 통한 부업 사기나 유명인 사칭 투자사기 등의 사이버 사기 피해 건수 비율은 급증3.5%→19.4%했다.
재화 및 서비스 유형의 상담접수 건도 전년 대비 6.7%포인트 증가했다.
개인 간 거래에서의 재화 및 서비스 미공급 등 계약 불이행거래사기 등 피해건수 비율총상담건수 대비이 전년 대비 대폭 증가19.7%→27.9%했고, 사업자와 고객 간 거래에서 재화 및 서비스 계약 불이행 피해 건수 비율도 소폭 증가4.9%→5.4%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리침해 유형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0.8%포인트했으나, 악성리뷰거짓적시·명예훼손 등의 피해건수 비율총상담건수 대비은 전년 대비 증가1.3%→2.0%했다.
전반적으로 누리소통망SNS, 전자금융사기피싱 사이트,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한 온라인상 사기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청인 성별로는 여성1933건, 50.1%이 남성1664건, 43.2%에 비해 다소 많았다. 여성994건, 51.4%과 남성831건, 49.9% 모두 재화 및 서비스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여성은 상품권·티켓 양도 등 거래 시 재화 미공급 피해사례가, 남성은 전자제품·레저용품 등 물품 미배송 사기 피해사례가 많았다.
여성의 경우 SNS 등에서의 개인정보 침해 등 권리침해 유형의 상담 신청 비중이 남성에 비해 다소 높았고여성 10.7%, 남성 8.4%, 남성은 요금분쟁 등 통신 유형의 상담 비중이 여성에 비해 높았다남성 8.2%, 여성 4.8%. 연령대별 신청은 20대833건, 26.0%, 30대801건, 25.0%, 40대739건, 23.1%, 50대431건, 13.5%, 10대180건, 5.7%, 60대178건, 5.6% 등의 순이었다.
60대 이상에서는 피싱·스미싱 등 사이버 금융범죄 등의 유형이 많았다. 60대 이하에서는 재화 및 서비스 유형이 많았는데, 10대~30대는 개인 간 중고 거래 물품 미배송 등의 피해사례가, 40대~50대는 사칭 온라인 쇼핑몰 거래 사기 등의 피해사례가 많았다.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365센터를 통해 많은 국민들이 피해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담 건수와 함께 질을 높이기 위해 인력 및 예산 등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인공지능 서비스 피해를 비롯해 온라인상 각종 피해 전반을 상담하고 피해 구제를 지원하는 통합 센터로 법령 개정 등을 통해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효빈 기자x40805@inews24.com[관련기사]
▶ [속보] 충남 천안 고속도로 공사장 교각 붕괴#x22ef;2명 사망·5명 부상
▶ "우려가 현실로"#x22ef;삼부토건도 법정관리 신청 종합
▶ 삼성전자 다니는 세 자녀 엄마·아빠 정년 후 재고용
▶ 갤럭시 S25 흥행에#x22ef;SKT, 아이폰16 공시지원금 47만원↑
▶ "평일 문닫는 대형마트"#x22ef;소비자는 환영 [현장]
▶ 대만 유명 매니저의 폭로 "구준엽, 故서희원 전남편에게 100억 받아야"
▶ 공수처장 "尹 영장, 기각되자 서부지법에 간 것 아냐"
관련링크
- 이전글먹으면 행복해져요 우울증 위험 22% 낮추는 이 과일 25.02.27
- 다음글카카오 오픈소스로 AI모델 공개…정신아 "AI조직 통합해 성과낼 것" 25.02.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