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뒷면은 땅부터 달라"…中 창어 6호 토양시료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6월 처음 채취한 뒷면 토양 분석
앞면보다 우라늄 높고 납은 적어
“운석 충돌로 마그마가 다시 녹은 탓”
앞면보다 우라늄 높고 납은 적어
“운석 충돌로 마그마가 다시 녹은 탓”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6호의 파노라마 카메라가 포착한 달 뒷면의 모습./중국 국가항천국CNSA 달 탐사 및 우주 공학 센터

중국 지질과학원과 산둥대 연구진은 “창어 6호가 최초로 달 뒷면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분석해 앞면과 다른 지질 형성 과정을 거쳤음을 확인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28일 밝혔다.
창어 6호가 수집한 현무암 조각 33개를 분석한 결과, 모두 티타늄 함량이 낮은 ‘저티타늄 현무암’으로, 약 28억2300만년 전에 만들어졌다고 확인됐다. 구성 성분과 형성 시기는 미국의 아폴로 탐사선이 가져온 현무암과 비슷했다.
이와 달리 달 뒷면 토양 시료는 앞면과 달리 칼륨K, 희토류REE, 인P이 풍부한 물질KREEP이 없었다. KREEP은 달 형성 초기에 마그마 바다가 결정화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진 잔여물이다. 과거 앞면에서 가져온 달 토양에는 KREEP이 많았다. 달 뒷면은 앞면과는 다른 화산 활동과 지질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창어 6호 이전까지 반 세기 넘게 달 탐사는 앞면에 집중됐다. 달은 자전과 공전 주기가 같아 지구에서 항상 앞면만 보인다. 따라서 달 탐사선도 앞면에 착륙해야 통신을 하거나 관측하기 수월했다. 달 앞면은 뒷면보다 표면이 평탄해 탐사선이 착륙하기에도 안전했다.
미국의 아폴로와 구소련 루나, 중국 창어 5호 등이 가져온 달 앞면 토양 시료들은 달 마그마 바다 모델LMO을 설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모델은 달이 생성된 직후 표면이 완전히 녹아 마그마 바다가 형성됐고, 시간이 지나면서 마그마가 냉각돼 결정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하지만 달 앞면의 토양 시료만으로는 달 전체의 지질 역사를 이해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진은 창어 6호 탐사선이 달 뒷면의 남극-에이트켄 분지에서 수집한 토양을 분석해 달 뒷면은 앞면과 다른 형태로 형성됐음을 확인했다.

창어 6호 착륙 지점./중국지질과학원
연구진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달 마그마 바다 모델의 마지막 단계인 결정화 이후 남극-에이트켄 분지를 만든 운석 충돌이 일어나 달 내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충돌로 인해 달 뒷면의 맨틀이 녹으면서 휘발성 물질이 날아가고 납 성분이 감소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달 뒷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달의 초기 역사와 달 마그마 바다 모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며 “향후 남극-에이트켄 분지 외 다른 지역에서도 토양 시료를 채집해 분석하면 달 전체의 지질학적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참고 자료
Science2025, DOI: https://doi.org/10.1126/science.adt3332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아름 기자 arhong@chosunbiz.com
관련링크
- 이전글신테카바이오, PDC라인파마와 신생항원 암백신 공동연구 25.02.28
- 다음글반도체 산업 현장서 간담회 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25.02.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