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언론사 속였다…가짜 기고문 게재, "정교한 사기에 희생"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AI가 언론사 속였다…가짜 기고문 게재, "정교한 사기에 희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8회 작성일 23-05-15 14:50

본문

뉴스 기사
<아이리시 타임스></div>의 누리집 일부 캡처.

아일랜드에서 독자 기고문이 인공지능AI의 글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뒤 언론사가 사과했다.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현지시각 <데페아> dap 통신에 따르면, <아이리시 타임스> 는 지난 11일 ‘아일랜드 여성들의 인조 태닝 집착은 문제’라는 제목의 기고를 온라인에 실었다. 기고자는 에콰도르 출신의 29살 여성 건강관리사 아드리아나 아코스타-코르테스로 현재 북부 더블린에 살고 있다고 소개됐고, 기고자의 인물 사진도 함께 게재됐다.

그런데 이튿날 오후부터 소셜미디어SNS에 기고자의 사진과 이름이 실존하는 사람인지 의심스럽다는 글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결국 언론사는 이날 오후 5시30분께 “이 기고문은 추가 확인될 때까지 삭제됐다”는 메시지만 남기고 글을 내렸다.

루아단 맥코맥 편집자는 이날 편집자의 편지에서 “신문이 정교한 사기에 희생양이 됐다”며 “이번 일을 가볍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건은 언론사와 독자의 신뢰를 깨트렸다”며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덧붙였다.

맥코맥 편집자는 “며칠 동안 기고자는 관련 데스크 작업에 관여했고 편집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 개인적 일화와 관련 연구 링크도 보내왔다”며 “이 모든 것이 건강한 신뢰 속에서 이뤄졌으며, 마침내 11일 아침 온라인판에 올라갔다”고 게재 경위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24시간도 안 되어 기고문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되어 곧바로 기고문을 삭제하고 진위 파악에 나섰다”고 말했다.

맥코맥은 “기고문과 첨부된 사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와 소통한 사람은 가짜였고 우리는 교묘한 사기에 걸려들었다”고 덧붙였다.

언론 매체에서 인공지능으로 쓴 가짜 글이 논란이 된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독일의 주간지 <악투엘레> 는 은퇴한 자동차 경주선수 미하엘 슈마허의 인터뷰 기사를 실었다가 인공지능으로 조작한 기사라는 게 드러나 큰 물의를 일으켰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남국 “상임위 때 코인 거래는 잘못…소액이라 기억 안 나”

폭설 갇힌 한국인에 ‘간장·참기름’ 내준 미국 부부 서울행

미워해도 소용없어, 사랑이 이겨, 우린 행복하게 늙을 거야

신생아를 여행용 가방에 ‘넣고’ 도착한 곳엔 철벽이…

양금덕의 일본인 대리인 “기시다 ‘마음 아프다’…진정한 사과 아냐”

‘퇴진 윤석열’ 천주교 사제들 “민주주의, 광주의 피로 자라나”

내일은 32도, 벌써 여름 같아…‘이른 더위’ 모레까지

전세계 똥, 스위스에 모은다…미생물판 ‘노아의 방주’

맞춤형 문제 내고 “집중해라” 잔소리까지…AI교과서, 교실 바꿀까

박원순 옹호 다큐 제작발표회 강행 …여성단체, 상영 중단 촉구

한겨레>


▶단톡방 ‘탈옥’ 들켰다면…‘조용히 나가기’ 따라 해봐요!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악투엘레> 아이리시> 데페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93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6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