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주권 확립" AI·바이오·양자·우주 RD 힘 싣는다
페이지 정보

본문
내년 Ramp;D 투자방향 수립 공청회
산학연 연구자·시민 등 의견 수렴
휴머노이드 로봇·GPU·양자컴 등
게임체인저 성장동력 확보 목표로
사이버보안 등 첨단기술도 박차
2026년도 국가 연구개발Ramp;D 사업은 성장동력과 과학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국가 임무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투자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9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지속가능한 미래와 새로운 성장동력을 이끌기 위해서는 혁신의 방향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며, "오늘 논의하는 국가 Ramp;D 투자 방향이 과학기술의 혁신을 위한 앞으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I·바이오·양자 등 핵심기술 집중 투자
과기혁신본부에서 마련한 계획안은 3대 분야 9개 전략으로 구성됐다.
우선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다.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양자 등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한다. 또 공공기술 사업화와 기업 Ramp;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스케일업 투자를 강화해 신산업 창출을 노린다. 여기에 기초연구, 출연연구기관 거점육성 등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지원해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을 키울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AI 분야에서는 AI 기반 휴머노이드로봇 등 물리적 AI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과 GPU 지원을 포함한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투자한다. 또 양자는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Ramp;D 사업이 포함됐다. 차세대 원자력에서는 iSMR과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지원키로 했했으며 우주항공해양은 수송·탐사·위성을 중심으로 대형프로젝트에 지원키로 했다.
다음으로 첨단산업과 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 확립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모빌리티, 차세대통신 등 우리 주력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한다.
또 유망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 글로벌 표준의 선제적 개발 등 전략적 글로벌 협력·진출에 투자를 지속해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도록 지원한다. 이와함께 우주, 사이버보안 등 신개념의 기술영토를 개척·수호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첨단안보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재육성·해외 인재유치 지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정부는 우선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교류를 지원해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유입을 촉진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에너지 신산업 성장동력화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고효율·저소비화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 투자해 기후대응 임무를 달성하게끔 돕는다.
또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혁신과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위한 국민 안전 기술 확보를 지속 지원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현장의 의견 뿐만아니라 산·학·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투자방향을 구체화하고, 관계부처 의견을 검토해 보완한 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의결을 거쳐 3월 15일까지 2026년도 국가 Ramp;D 투자방향 및 기준을 관계부처에 통보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수현 생일에 자택서 사망한 배우 김새론, 집 안 살펴보니...
→ 서정희 母 작심고백 "서세원, 딸이 밖에서 남자랑..."
→ 하하♥ 별의 고민 "임신 너무 잘되는데 부부관계를..."
→ 양양 하천서 50대 男 숨진채 발견, 시신 살펴보니...소름
→ "구준엽, 故서희원 장례 끝나기 전에..." 반전 목격담
산학연 연구자·시민 등 의견 수렴
휴머노이드 로봇·GPU·양자컴 등
게임체인저 성장동력 확보 목표로
사이버보안 등 첨단기술도 박차
![]() |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9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지속가능한 미래와 새로운 성장동력을 이끌기 위해서는 혁신의 방향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며, "오늘 논의하는 국가 Ramp;D 투자 방향이 과학기술의 혁신을 위한 앞으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I·바이오·양자 등 핵심기술 집중 투자
과기혁신본부에서 마련한 계획안은 3대 분야 9개 전략으로 구성됐다.
우선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다.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양자 등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한다. 또 공공기술 사업화와 기업 Ramp;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스케일업 투자를 강화해 신산업 창출을 노린다. 여기에 기초연구, 출연연구기관 거점육성 등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지원해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을 키울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AI 분야에서는 AI 기반 휴머노이드로봇 등 물리적 AI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과 GPU 지원을 포함한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투자한다. 또 양자는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Ramp;D 사업이 포함됐다. 차세대 원자력에서는 iSMR과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지원키로 했했으며 우주항공해양은 수송·탐사·위성을 중심으로 대형프로젝트에 지원키로 했다.
다음으로 첨단산업과 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 확립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모빌리티, 차세대통신 등 우리 주력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한다.
또 유망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 글로벌 표준의 선제적 개발 등 전략적 글로벌 협력·진출에 투자를 지속해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도록 지원한다. 이와함께 우주, 사이버보안 등 신개념의 기술영토를 개척·수호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첨단안보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재육성·해외 인재유치 지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정부는 우선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교류를 지원해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유입을 촉진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에너지 신산업 성장동력화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고효율·저소비화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 투자해 기후대응 임무를 달성하게끔 돕는다.
또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혁신과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위한 국민 안전 기술 확보를 지속 지원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현장의 의견 뿐만아니라 산·학·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투자방향을 구체화하고, 관계부처 의견을 검토해 보완한 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의결을 거쳐 3월 15일까지 2026년도 국가 Ramp;D 투자방향 및 기준을 관계부처에 통보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수현 생일에 자택서 사망한 배우 김새론, 집 안 살펴보니...
→ 서정희 母 작심고백 "서세원, 딸이 밖에서 남자랑..."
→ 하하♥ 별의 고민 "임신 너무 잘되는데 부부관계를..."
→ 양양 하천서 50대 男 숨진채 발견, 시신 살펴보니...소름
→ "구준엽, 故서희원 장례 끝나기 전에..." 반전 목격담
관련링크
- 이전글LGU·노브랜드 버거 디지털 상생 25.02.19
- 다음글35년된 기초연구법, 전면개정 추진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