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보안 위협 선제적 제거"…역대 최장기간 블랙박스 모의해킹 진행
페이지 정보

본문
오펜시브 보안 전문업체, 실전처럼 LGU 침투
역대 최장 기간·최대 규모의 서비스 보안 점검
취약점 선제적 제거로 예방 역량 강화
역대 최장 기간·최대 규모의 서비스 보안 점검
취약점 선제적 제거로 예방 역량 강화
![]() |
LG유플러스 임직원이 모의해킹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LG유플러스가 8개월에 걸친 역대 최장 기간·최대 규모의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통해 자사 서비스의 보안 시스템 수준을 선제적으로 검토하고 나섰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부터 오펜시브 보안 전문업체 엔키화이트햇과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진행하며 자사가 운영 중인 모든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점검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블랙박스 모의해킹은 점검을 의뢰한 기업이 보안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별도의 시나리오 없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모의해킹은 업체와 협의해 특정 조건이나 상황에 대해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번 LG유플러스의 블랙박스 모의해킹은 화이트해커들이 외부 공격자의 관점에서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자사 서비스에 침투를 시도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보안 시스템 수준을 파악해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11월부터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진행 중인 LG유플러스는 올 상반기까지 약 8개월에 거쳐 화이트해커 집단의 점검을 받게 된다. 점검 대상도 특정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LG유플러스의 모든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 |
LG유플러스 임직원이 모의해킹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역대 최장·최대 모의해킹 프로젝트를 통해 자사 서비스에 잠재된 보안 빈틈을 샅샅이 찾을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LG유플러스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해커가 사내망에 접근해 서버를 장악하거나 개인정보, 회사 기밀 등 중요 정보를 빼낼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LG유플러스는 모의해킹 기간 동안 파악된 서비스 취약점에 대해서도 엔키화이트햇과 합동으로 점검·보완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선제적으로 보안 위협 요소를 제거하고, 실제 사이버 공격 상황을 대응하는 데 중요 역량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전무은 “AI 활용이 늘면서 고객들의 보안에 대한 불안감도 점점 커지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정보보안 역량을 강화해 고객이 가장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누구나 사내의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버그바운티 제도를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시하고 있다. 또 지난 연말 체계적인 개인정보 관리를 위해 ‘프라이버시 센터’Privacy Center를 구축한 바 있다.
[ 인기기사 ]
▶ 손연재, 아들 첫 돌 맞아 1억원 기부…꾸준한 나눔
관련링크
- 이전글넷플릭스, 국내 OTT 이용시간 점유율 61.1% 압도적 1위 25.02.18
- 다음글딥시크 개인정보, 틱톡으로 샜다…국내 신규 다운로드 서비스 중단 25.0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