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등 신기술 도입률 1위", AI인재 순유입 순위는 22위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한국 AI 등 신기술 도입률 1위", AI인재 순유입 순위는 22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5회 작성일 24-05-16 14:54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OECD가 발간한 디지털 경제전망 보고서 1권에 따르면 한국은 AI 전문인력 순유입 순위에서 조사대상 39개국 중 22위로 평가됐다. 2019년에는 순유출 국가였다가 2022년에는 소폭 순유입 국가로 평가된 영향이다. / 사진=OECD 홈페이지 캡쳐

한국이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 도입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1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AI 전문인력 순유입 순위는 과거 대비 높아졌지만 여전히 20위권대 바깥에 머문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OECD가 지난 14일 발간한 디지털 경제전망 보고서 2024 1권에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신기술 도입률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며 16일 이같이 밝혔다.

OECD 디지털정책위원회가 주도해 발간하는 이 보고서는 회원국 통계 자료와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디지털 분야의 글로벌 동향을 분석해 주요 통계와 정책 시사점을 제공하는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49% IoT27% 등 기술을 주로 도입하고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14% AI8% 등은 비용 등 문제로 상대적으로 도입이 느린 편이라고 평가됐다. 소규모 기업일수록 이같은 추세가 강했다.


반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IoT53% 빅데이터 분석40% AI기술28% 등 항목에서 다른 회원국 기업들에 비해 높은 도입률을 기록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률은 70%로 OECD 평균치49%보다는 높았지만 순위는 5위였다.

이외에 보고서는 AI 학습용 데이터의 절반 이상57%가 영어이고 중국어6% 러시아어3% 불어3%에 이어 한국어는 2% 수준으로 일본어와 스페인어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했다. AI 전문인력의 국가간 이동과 관련한 순위에서 한국은 2019년 조사대상 39개국 중 36위로 평가됐지만 2022년 기준으로는 22위로 평가됐다.

한국의 인터넷 도입률은 10위였지만 한국은 지난 3개월간 인터넷을 활용한 성인 비율 항목에서 97% 이상을 기록한 10개국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OECD 평균은 90%였고 1위는 노르웨이99%였다. 한국은 나이, 교육, 소득에 따른 인터넷 활용 격차가 21위~26위권으로 비교적 낮게 평가됐다. 순위가 낮을수록 격차가 작다는 뜻이다. 반면 성별에 따른 인터넷 활용 격차는 조사대상 37개국 중 10위로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됐다.

아울러 2011년부터 2022년까지 OECD 회원국의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경제의 평균 성장률은 5.7%로 전체 경제 성장률에 비해 약 3배 더 높았다. OECD 회원국들은 AI,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진흥하기 위해 범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AI에 대한 글로벌 VC벤처캐피털 투자가 2021~2023년간 50% 이상 감소한 반면 생성형 AI에 대한 VC 투자는 급증했다는 내용도 보고서에 담겼다. 2022년 전체 AI 투자의 1%인 13억달러였던 생성형 AI에 대한 투자가 2023년에는 178억달러로 13배 이상 늘고 전체 AI투자 대비 생성형 AI에 대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8.2%로 높아졌다.

새로운 기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에 대한 고민도 보고서에 담겼다. 주요 정책 사례로는 미국의 2020 AI 이니셔티브법, 유럽의 Ramp;D연구개발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 G7주요 7개국의 생성형 AI에 대한 히로시마 프로세스 등이 있다. 한국의 AI 지역확산 추진 방향 K클라우드 프로젝트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메타버스 윤리원칙 등 우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한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주요 정책도 보고서에 소개됐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OECD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OECD 국가들의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디지털 분야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해 디지털 모범국가로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활용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술집 갔지만 술 안 마셨다"는 김호중… 김상혁·권상우·지나 재조명
김호중 뺑소니 그 시각… 소속사 대표·매니저 만취 상태
동료와 바람난 공무원 아내… 남편 역추적한 상간남 무죄
배아현 "아버지 정화조 일 몰랐다…무명 8년간 억대 금액 지원"
뉴진스님 윤성호 오열…"작년 눈 뜨기 싫었다, 유튜브 해킹 충격"
뺑소니 조사 받으면서 이런 말을?…김호중, 팬들에 한 당부 뭐길래
"의사 연봉 3억 이상" 정부 주장에 의사들 반박 "전공의는 왜 빼"
김건희 여사, 153일만 등장…"떳떳하게 수사받고 결과에 책임"
[르포]전기차 배터리, 이 회사 손에 이차전지로…정부도 엄지척
최재림, 18살 연상 박칼린과 열애설…"결혼했어도 두 달 내 이혼"
그사세 아파트는 4억 뛰었는데…"이제 오르나" 했던 이곳 또 뚝
"살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뺑소니도 소용없는 김호중 팬카페
야간 훈련 중 갑자기 쓰러진 특전사 중사…1% 기적으로 살아난 사연
[속보] 복지부 SNS에 코인이?…"계정 해킹당했다"
"한국에선 스킨 다음에 이거 바른대"…아마존서 불티난 한국 세럼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0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8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