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美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상업·가정·산업용 3대 로봇 사업...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LG전자, 美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상업·가정·산업용 3대 로봇 사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1-24 14:36

본문

1년 만에 콜옵션 행사…베어로보틱스 완전 자회사化
구글 출신 경영진 유임…이사진·실무진 파견해 시너지
LG전자, 상업·가정·산업용 3대 로봇 사업 강화
LG전자 로봇에 베어로보틱스 자율주행 기술 이식


LG전자, 美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상업·가정·산업용 3대 로봇 사업 강화


LG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베어로보틱스대표 하정우에 대한 경영권을 확보했다. LG전자는 이를 발판으로 병원·배송·서빙과 같은 상업용 로봇 사업에 대한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어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LG전자는 작년 3월 6000만 달러859억원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확보한 동시에 지분 30%를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어 1년도 채 안 된 상태에서 LG전자는 콜옵션을 전격 행사했다. 인공지능AI 발전으로 로보틱스 산업이 급성장하자 투자속도를 낸 것이다.

LG전자는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해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베어로보틱스 기업가치는 5억달러7164억원 안팎에 달한 알려졌다. 또 상장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베어로보틱스는 구글 본사의 리드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지난 201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시티에 설립한 로보틱스 기업이다. 하 대표는 부업으로 한식당 ‘강남순두부’를 운영하면서 로봇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창업에 돌입했다. 이후 베어로보틱스는 자율주행 서빙 로봇인 ‘서비’ 시리즈를 개발, 한국·미국·일본 등 주요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 여러 로봇을 작동하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LG전자는 상업용·가정용·사업용 로봇 시장을 적극 개척하는 청사진을 그린 상태다. 로봇을 총괄하는 HS사업본부가 가정용을 맡고, 상업용 로봇은 베어로보틱스와 협업해 시너지를 낸다는 복안이다. 또 산업용은 LG전자 생산기술원이 주도한다. 이를 위해 하정우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을 그대로 유임하고, LG전자가 이사진과 실무진을 베어로보틱스에 파견할 예정이다. 특히 종전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한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부사장은 이에 대해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전화 통화에서 “LG전자와 한 식구가 됐다”며 “첨단 자율주행 로봇 개발로 많은 기업과 사업자가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수 결정은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CES 2025에서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를 만난 직후 이뤄졌다.

앞서 조주완 CEO는 앞서 “로봇은 명확한 미래”라며 “현재 집중하고 있는 Famp;B식음료·물류 배송로봇을 넘어, 이동형 AI홈 허브프로젝트명 Q9 등 가정용 로봇도 준비 중”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현재 LG전자는 로봇 사업을 위해 크게 △이동형 AI홈 허브 △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산업용 로봇 △ 로봇 SW 기반 통합 솔루션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동형 AI홈 허브Q9은 두 다리에 바퀴가 달려 있는 로봇 플랫폼이다. 자율 주행 기술,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등 이른바 ‘멀티모달 센싱’을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집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자와 소통한다. LG전자는 향후 이동형 AI홈 허브를 주축으로 집안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제어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스마트팩토리 사업 역시 로보틱스로 발전 중이다. 자율 주행을 기반으로 인간의 팔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직다관절로봇, 500kg 중량까지 적재해 목적지까지 스스로 이동하는 자율주행 운송로봇 등이 대표적이다. 로봇 업계에서는 베어로보틱스 자율주행 기술이 LG전자가 추진하는 스마트팩토리 로보틱스에 접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와 함께 각기 다른 로봇 제품을 사용하는 다양한 고객들에게 균질하고 상향 평준화된 솔루션 경험을 제공하고자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덕 박승주 기자

오늘의 운세 2025년 1월 24일 金음력12월 25일

“돈 맡기면 골드바 드려요”…은행 예적금 넣으면 이런 혜택까지 준다는데

[속보] 일본은행, 0.5%로 금리 인상…17년 내 최고 수준

파주서 일하는 태국인 형제, ‘40억 로또’ 당첨…고향으로 돌아갈 준비

“대체 비결이 뭐야?”...월 300만원씩 국민연금 받는 사람 나왔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442
어제
2,039
최대
3,806
전체
852,33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