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프사 광풍…챗GPT 새로운 기폭제 될까
페이지 정보

본문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챗GPT 일간 이용자 수 역대 최고
올트먼 "GPU 녹아내린다" 기능 제한 조치…유료 결제 유도?
저작권 침해 논란도…미국 작가협회 집단 소송
올트먼 "GPU 녹아내린다" 기능 제한 조치…유료 결제 유도?
저작권 침해 논란도…미국 작가협회 집단 소송

오픈AI의 챗GPT를 통해 만든 지브리 스튜디오 화풍의 이미지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스튜디오 지브리와 디즈니 등 유명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이미지를 변환해주는 챗GPT 기능이 인기다. 너도 나도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바꿔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에 힘입어 우리나라 챗GPT 일간 이용자 수는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기록했다. 이런 흐름은 챗GPT 유료 서비스 확대의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AI가 특정 스튜디오나 작가의 고유한 화풍을 모방하는 것에 대한 저작권 논쟁도 불거지고 있다.
이미지 생성 기능에 챗GPT 일간 이용자 수 최고치 경신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10일 처음으로 100만명대를 기록한 후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것이다.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80만명에도 못 미쳤으나, 이미지 생성 기능 추가 후 한 달 만에 50% 이상 급증했다.
이런 현상은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선보인 것이 주효했다. "내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라는 간단한 명령만으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AI 대중화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전 세계 사용자들 사이에선 유명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들어 SNS에 공유하는 것이 일종의 유행처럼 번졌다. 특히 지브리 화풍으로 바꾼 자신의 사진을 프로필로 변경하는 지브리 프사 챌린지는 SNS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됐고, 많은 이용자들이 동참하며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X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올렸고, 백악관 공식 계정까지 지브리 화풍의 이미지를 사용하며 이 열풍에 가세했다.
올트먼 "GPU 녹아내린다" 기능 제한…유료 결제 유도?
하지만 이미지 생성 요청이 폭주하면서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자, 오픈AI는 유료-무료 사용자의 서비스 차별화를 선언했다.
올트먼 CEO는 자신의 X옛 트위터에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성능을 개선하는 동안 해당 기능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무료 이용자들은 하루에 3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제한될 예정이다.

챗GPT 유료 서비스 구독 안내창. 사진=챗GPT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결국 이러한 서비스 차별화는 무료 이용자들을 유료 서비스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오픈AI는 현재 유료 구독 서비스로 월 20달러약 2만7000원인 챗GPT 플러스와 200달러약 27만원인 챗GPT 프로Pro를 제공하고 있다. 적지 않은 가격이라, AI 접근성에 대한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저작권 침해 논란도…지브리 측 입장은 아직 없어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저작권 침해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AI가 특정 화풍을 모방하는 것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법적 논쟁이 가열될 조짐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작가 협회가 주도해 오픈AI를 상대로 무단 저작물 사용 혐의에 대한 집단소송을 진행 중이다.
AP통신에 따르면 로펌 프라이어 캐시먼의 조시 와이겐스버그 파트너 변호사는 "AI 모델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훈련 데이터로 활용했는지 여부가 법적 쟁점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창작자의 동의 절차나 적절한 보상 체계 없이 저작물을 AI 학습에 활용하는 행위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 요소를 내포한다"고 지적했다.
오픈AI 측은 이러한 비판에 "개별 예술가의 고유한 표현 양식 복제는 지양하나, 보다 광범위한 스튜디오 스타일의 활용은 허용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자사의 이미지 생성 AI가 어떤 데이터를 학습했는지에 대해선 밝히지 않고 있다.
당사자인 스튜디오 지브리 측에서도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능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이 없는 상태다. 다만 스튜디오 지브리의 창업자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지난 2016년 AI가 만든 결과물을 보고 "역겹다"며 강한 거부감을 표현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odong8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lt;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gt;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 "김수현, 김새론 여고생 때 함께 소주 마셔"
◇ 송지은♥ 박위, 두 발로 서서 찍은 웨딩화보 뭉클
◇ 이민정, 이병헌과 현실 부부 싸움…왜?
◇ 49㎏ 감량 최준희, 뼈말라 몸매…놀라운 11자 각선미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에 시어머니도 이혼하라고"
◇ 금요일 오전 11시 尹 탄핵 선고…생중계 된다
◇ 김수현 방지법 청원 등장…"의제강간 만19세로 상향"
◇ 불륜설 최여진, 예비남편 전처 "부케 내가 받겠다"
◇ 강병규 "도박판서 톱배우 A 만나…5천만원 따더라"
◇ 신민아 "혜리가 화장실에서 나보고 XX 예뻐라고 해"
◇ 김지민母, 딸♥김준호 혼전동거 반대…의외의 이유
◇ 최여진, 예비신랑 재벌설에 "돈 없진 않아"
◇ 11월 연하♥ 심현섭 "예능 출연료 예비신부 다 줘"
◇ 정동원 "57평 한강뷰 아파트 대출없이 20억에 구매"
◇ 14세 연하와 결혼 배성재 "장모님과 11세 차이"
◇ 10년 간호 남편 숨지자…전처 자식들 "집 비워주세요"
◇ 15세 연상과 결혼 소희, 물오른 미모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 죄송…하루하루가 지옥"
◇ 민지, 팀 탈퇴…"갑작스런 소식 죄송"
관련링크
- 이전글"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 대박에…그래픽장치 녹아내린다는 올트먼 25.04.01
- 다음글"지브리풍으로 그려줘!"…국내 챗GPT 이용자 역대 최다 25.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