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 대박에…그래픽장치 녹아내린다는 올트먼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 대박에…그래픽장치 녹아내린다는 올트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1 09:01

본문

지브리풍 사진 열풍에 일일 사용자 120만명 넘어
첫 100만 돌파 2주만
quot;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quot; 대박에…그래픽장치 녹아내린다는 올트먼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0일 챗GPT DAU는 103만3733명으로 첫 100만명대를 기록했는데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셈이다.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79만9571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이용자 급증은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모델이 공개된 이후 최근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유명 에니메이션 제작사의 화풍으로 변환한 이미지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를 모방한 이미지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ae_1743477125200_49690_1.png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X엑스·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올려 이목을 끌었다. 해당 모델은 오픈AI의 멀티모달 AI 모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명령어를 하나하나 입력할 필요 없이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만 각종 부작용과 우려도 발생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수요가 급증하자 올트먼 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기술적 부작용을 우려한 바 있다. 모든 콘텐츠 생성을 일반 이용자 재량에 맡기면서 문화 전쟁 또는 혐오 콘텐츠 확산 우려도 나온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인만큼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지속될 전망이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관련기사]
"월 1만원 내고 회사 화장실서 살아요"…18세 여성 사연
나도 먹으러 많이 갔는데…벌레에 쥐까지 나와 전 매장 폐쇄한 곳
"먼저 써낸 사람이 임자"…접수 첫날 4000건 몰린 신규 OO
"침대 밑에 괴물이 있어요"…아이 말에 확인해봤는데 깜짝
살짝 부딪혀놓고 "입원합니다" 이제 못할 수도…보험업계서 준비 중인 연구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돈이 되는 정보, 경제 치트키 CORE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48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35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