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선두그룹서 낙오 위기"…KAIST 석학이 제시한 해법은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한국 AI 선두그룹서 낙오 위기"…KAIST 석학이 제시한 해법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25-02-03 08:47

본문

quot;한국 AI 선두그룹서 낙오 위기quot;…KAIST 석학이 제시한 해법은


“2022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선두그룹에 속했습니다. 톱3와 기술 격차도 꾸준히 줄이고 있었는데 불과 2년 만에 선두에서 낙오될 위기입니다. 다행히 지금부터 국가적으로 AI 혁신에 올인한다면 아직은 기회가 있습니다.”

김기응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AI대학원 석좌교수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는 최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보다 근본적으로 대한민국 산업과 법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의 리디자인이 필요하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중국 딥시크의 성공 비결로 꼽힌 오픈소스를 언급하면서는 “아예 한국 AI 생태계 전체를 오픈소스하겠다는 각오를 해야 할 때”라고도 했다.


김 교수는 AI 시대에 대한민국이 생존하기 위한 7대 액션플랜도 제안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우수 인재 육성이다. 그는 “우수한 우리 인재들이 해외로 진출하는 것은 긍정적이고 필수적”이라면서 “하지만 이러한 흐름이 우리 자체 기술력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고민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이 AI에 최적화된 생태계로, 인재들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막연히 인재 유출을 우려하기보다 최고 전문가가 된 그들이 돌아오고 싶어하는 나라, 돌아오지는 않더라도 ‘연결’되고 싶은 나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 분야에서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산업 측면에서는 AI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통합해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해야 한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AI 스타트업과 인재를 육성하고,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하며, 기업들이 AI를 활용한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news-p.v1.20250201.2572951b7d2847ac8a318019404902da_P1.jpg


전 세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법제 분야에서도 한국이 치고 나갈 여지가 있다고 봤다. 그는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법적·윤리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만큼 AI 기본법을 잘 정비해 발전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법적 기반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AI로 인한 일자리 변동, 개인정보 보호, 윤리적 이슈 등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여 포용적이고 공정한 AI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AI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AI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홍보도 절실하다.

영국 토터스미디어, 미국 스탠퍼드대 등의 AI 기술 국가 경쟁력 순위를 종합하면 한국은 세계에서 6~7위로 평가받는다. 미국과 중국 외에도 영국과 프랑스 등이 앞선 국가로 평가된다. 한국 뒤로는 독일, 일본 등이 맹추격 중이다.

김 교수는 특히 일본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각에서 우리나라가 일본을 앞질렀다며 자부심을 느끼기도 한다”며 “그러나 일본은 오래전부터 정보이론 등 현대 AI 연구의 토대가 되는 기초 학문 분야에 있어 세계적 수준의 연구 기반을 탄탄히 닦아 놓았다. 이를 바탕으로 AI 원천 기술 연구에 집중하는 한편 로봇 등 산업 전반에 AI를 통합하려는 노력을 조용하지만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AI 강국”이라고 지적했다.

오늘의 운세 2025년 2월 3일 月음력 1월 6일

인천공항서 작년 압수된 김치 무려 11t, 어디로 갔을까

중산층으로 번진 금소세… 납부자 1년새 75% 급증

“이러다 큰일날라”…2030남성 2명중 1명 ‘이것’, 여성도 20.5% 뭐길래

‘사의 표명’ 김대호 “출연료 1시간에 4만원…광고 15개나 놓쳐”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10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10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