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만, AI 전용 단말기로 스마트폰 대체 선언 ?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샘 올트만, AI 전용 단말기로 스마트폰 대체 선언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8회 작성일 25-02-03 08:20

본문

조니 아이브와 협업…음성 조작과 AI 안전성 확보에 주력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책임자CEO 사진연합뉴스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책임자CEO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책임자CEO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단말기는 기존 스마트폰을 대체할 목적으로 제작되며 음성 조작 기능을 핵심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닛케이와의 지난달 27일 인터뷰에서 올트만 CEO는 “AI는 컴퓨터와의 접촉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새로운 단말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올트만 CEO는 미국 애플 전 수석디자인책임자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러브프롬LoveFrom’과 협력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는 “손가락 터치 중심의 기존 UI는 AI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며 음성 조작 방식 도입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단말기 개발은 제휴 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한편 오픈AI는 자체 반도체 개발에도 착수하고 있다. 최근 높은 가성비와 성능을 선보인 딥시크 모델에 대해 올트만 CEO는 “좋은 AI모델이지만 성능 면에서는 기대만큼 놀랍지는 않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오픈AI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수한 모델을 선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트만 CEO는 중국의 AI 개발 역량도 높게 평가하며 “미국을 상당히 따라잡고 있다”며 중국이 AI 기술 주도권을 잡을 경우 권위주의 국가가 체제 강화를 위해 AI를 악용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오픈AI는 소프트뱅크와 오라클과 협력해 5000억 달러700조원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AI 인프라를 상류에서 하류까지 포괄하는 거대 사업으로 오픈AI가 데이터 센터 건설 및 운영을 맡게 된다.

또한 올트만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AI 정책 지지를 언급하며 “미국이 AI개발을 선도하는 것이 전 세계 이익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프라 건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AI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제적 감시체계 구축 등 안전 관리 방안을 논의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원자력 분야의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예로 들며 AI도 국제적인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올트만 CEO는 최근 일본 방문 후 소프트뱅크그룹 손정의 회장 및 일본 총리 이시바 시게루와 회동했으며 4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후 인도, 독일, 프랑스 파리 AI 정상회의와 두바이 월드 거버먼트 서밋 등 주요 일정이 예정되어 있다.

두바이에서는 순다 피차이 알파벳 CEO, 래리 엘리슨 오라클 공동 창업자, 조셉 차이 알리바바 회장 등과 함께 AI 미래 전략을 논의할 계획이다.

선재관 기자 seon@economidaily.com

★관련기사

수학으로 빚은 AI 혁명,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기술 패권 경쟁의 새 장을 열다

오픈AI, 딥시크 쇼크에 경량 고급 추론 모델 o3-mini로 응수

오픈AI 올트먼, 딥시크 도전에 오픈소스 가능성 언급

중국 AI 챗봇 딥시크, 접속자 폭주로 서버 장애 지속…고성능 AI 모델 딥시크-V3 주목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국내 앱 이용자 수 2위 등극…서버 장애로 접속 차질 ?


★추천기사

美 관세 전쟁 포문…무역 갈등 격화

트럼프발 관세 폭탄…"대만 경제에도 충격"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에 25%, 中에 10% 관세 서명…무역전쟁 막 올라

국내 정유업계, 휘발유·경유 수출 사상 최대

[속보]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미국산에 25% 부과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33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53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