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시장 도전하는 SKT AI 에스터…딥시크에 좌절하나
페이지 정보

본문
SKT 생성형AI, 지난해 매출 600억원 달성 전망
에스터로 북미 시장 도전…3월 베타테스트 진행
북미, 글로벌 빅테크 각축전…고객 확보 어려울 듯
에스터로 북미 시장 도전…3월 베타테스트 진행
북미, 글로벌 빅테크 각축전…고객 확보 어려울 듯

31일 미래에셋증권 등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SKT의 생성형AI 매출은 6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에이닷은 SKT가 지난 2022년 5월 출시한 AI 서비스로 공개 당시 챗GPT의 오픈OpenAI가 개발한 GPT-3 언어모델이 적용됐다. 이후 T전화를 에이닷 전화로 변경하는 등 개편을 통해 지난해 9월 기준 누적 가입자 수 550만명을 넘어섰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에이닷은 지난달 메신저·전화·영상통화 부문에서 카카오톡 다음으로 월간활성사용자 수MAU 2위를 기록했다. 또 MAU는 245만명으로 국내 기업이 개발한 생성형AI 앱 중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했다.
에이닷을 국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노하우를 학습한 SKT는 에스터로 북미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 7일 정석근 SK텔레콤 글로벌 퍼스널 AI 에이전트GPAA 사업부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5 행사에서 오는 3월 에스터의 베타 서비스를 북미 시장에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에스터는 북미 맞춤형 AI 에이전트로 이용자 요구에 맞춰 일정을 관리해 주는 특징이 있다. SKT 관계자는 "에스터는 글로벌 빅테크들과 단순 경쟁을 넘어 이들이 보유한 다양한 강점을 통합하고 활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다르다"며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lobal Telco AI Alliance, GTAA를 기반으로 로컬 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십을 통해 에스터만의 경쟁력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최근 글로벌 빅테크들이 AI 에이전트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데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모델 딥시크 R1을 출시하며 시장 경쟁이 치열해져 에스터의 고객 확보가 쉽지 않아 보인다.
오픈AI는 최근 웹브라우저 AI에이전트인 오퍼레이터Operator를 공개하며 AI 서비스를 다각화하고 있다. 구글 역시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AI에이전트 자비스를, 마이크로소프트도 기업용 AI 코파일럿을 기반으로 한 AI에이전트를 준비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T가 우리나라 시장에서는 이미 플랫폼 영향력이 있어 에이닷을 통한 AI 에이전트 시장 확장엔 유리하다. 북미 시장에서 이미 빅테크 기업들이 AI에이전트 시장에서 높은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으로 SKT가 북미에서 성공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나선혜 기자 hisunny20@ajunews.com
★관련기사
美 시장 도전하는 SKT AI 에스터...딥시크에 좌절하나
韓 산업계도 주목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SKT 유영상 "굉장해…韓도 노력할 것"
SK Camp;C, SKT와 B2B AI 에이전트 개발 박차
SKT, 설 연휴 특별 소통 상황실 운영…통신 품질 관리 총력
SKT, 가산 AIDC 통해 GPUaaS 본격 출시…"100곳 넘는 기업 문의"
★추천기사
워싱턴 여객기·軍헬기 충돌 당시 음성 공개…관제사들 비명, 트럼프는 헬기 지적
주민 반대에 공사 지지부진…AI 시대, 데이터센터 건립 쉽지 않네
[신 AI·Tech 혁명] 中 딥시크 돌풍에 탈엔비디아 행보 거세져...K-AI칩 기회 잡는다
美워싱턴 인근서 항공기와 軍헬기 충돌·추락…최소한 18명 사망
[속보] 트럼프, 워싱턴 공항 인근 여객기·군 헬기 충돌에 "끔찍한 사고…모니터링중"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관련링크
- 이전글[왁자지껄] 드디어 나오는 닌텐도 스위치2, 다양한 루머와 정보들 25.01.31
- 다음글접속 폭주 딥시크, 수일 째 접속 오락가락 25.01.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