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그대로인데 요금 20% 인상?…AWS·MS·구글, 클라우드 서비스 ...
페이지 정보

본문
AWS·MS·구글, AI 투자 실탄 마련 위해 서비스 요금 인상
韓 기업 75%, AWS·구글·MS 클라우드 이용
“시스템 바꾸기 쉽지 않아 요금 올라도 계속 사용”
원·달러 환율 상승에 이용료 인상 ‘이중고’
韓 기업 75%, AWS·구글·MS 클라우드 이용
“시스템 바꾸기 쉽지 않아 요금 올라도 계속 사용”
원·달러 환율 상승에 이용료 인상 ‘이중고’

아마존웹서비스AWS 로고./로이터연합뉴스
하지만 IT업계에선 AWS·MS·구글이 클라우드 고객사들이 타사 서비스로 쉽게 옮겨갈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해, 일방적으로 가격을 올리는 일명 ‘갑질’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한 번 시스템을 구축하면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로 갈아탈 경우 데이터 이전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국내 시장에서 AWS·MS·구글의 점유율은 75%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계에 달한다.
◇ AWS·MS·구글, 기업용 서비스 요금 최대 20% 인상
31일 업계에 따르면 AWS는 지난달 기업용 로그인 보안 서비스인 코그니토 요금제를 처음으로 개편했다. 당초 단일 요금제였던 코그니토는 라이트, 에센셜, 플러스 세 개 등급으로 재편됐다. 가장 낮은 등급인 라이트 요금제와 중간 등급인 에센셜 요금제를 이용할 때 일일 로그인 수 1만건까지는 무료지만, 이를 초과하면 단일 요금제보다 비용 부담이 커진다. 단일 요금제는 일일 로그인 이용자 수 5만명이 넘어가면 1건당 0.005달러가 부과되지만, 신설된 라이트·에센셜 요금제는 1만명을 초과할 경우 1건당 0.015달러가 부과된다.
MS는 지난달 기업용 마이크로소프트 365 서비스 가격을 환율과 현지 가격 정책에 따라 올해 4월부터 5%가량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2월 가격이 10% 인상된 지 약 1년 만이다. 화상 대화 서비스 팀즈폰도 2017년 출시 이후 처음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MS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서비스 PPU 가격도 기존 20달러에서 24달러로 인상한다고 했다. 이달 MS는 개인·가정용으로 판매하는 업무용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 365′ 가격을 미국에서 12년 만에 처음으로 올렸다.
구글은 이달 17일 클라우드 기반 업무 협업 툴인 ‘워크스페이스’ 구독 가격을 2년 만에 다시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은 2023년 4월 워크스페이스 일부 요금제의 가격을 최대 20% 인상한 바 있다. 구글은 AI 서비스 제미나이를 워크스페이스 서비스에 포함시켰다는 이유로 이용료를 인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장 낮은 등급인 비즈니스 스타터는 6달러에서 7달러로 16%, 중간 등급인 비즈니스 플러스는 18달러에서 22달러로 22% 인상된다. 최고 등급인 워크스페이스 엔터프라이즈 요금제에 대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AI 인프라 출혈 경쟁하는 빅테크 3사… ‘킹달러 비상’ 韓 고객사 이중고
최근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AI 인프라 확대에 천문학적인 투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지난해 5월 MS는 태국에 데이터센터를 짓고 클라우드·AI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구글도 같은 달 20억달러약 2조9020억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이어 싱가포르에서 네번째 데이터센터를 완공, 싱가포르에 대한 투자 금액을 총 50억달러약 7조2550억원로 늘렸다. AWS는 싱가포르 클라우드 인프라에 88억7000만달러약 11조7000억원를 투자할 방침이다. 데이터센터는 AI가 추론·학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필수 시설이다.
강명수 한국클라우드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빅테크들이 인프라 투자와 데이터센터 운영 등에 드는 전력 비용 부담으로 인해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를 인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빅테크들이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를 인상하면서 국내 고객사들의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AWS·MS·구글이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분을 이용료에 반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체적으로 이용료 인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채효근 IT서비스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미국 빅테크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의존율이 높은 한국 기업들의 경우 환율 상승과 이용료 인상이 이중고로 작용할 것”이라며 “사실상 기업 입장에선 한 번 서비스를 선택하면 시스템을 바꾸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용료가 오르더라도 지속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민국 기자 mansay@chosunbiz.com
관련링크
- 이전글[리뷰] 초보를 위한 메트로배니아. 근데 매력적인 세계관을 곁들인. 엔더 ... 25.01.31
- 다음글지구생명체 외계에서 왔다?…소행성 샘플서 DNA 성분 검출 [지금이... 25.01.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