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딥시크, 美오픈AI서 지식 증류?…이번엔 도용 논란
페이지 정보

본문

불과 74억원의 개발비용만을 들여 저비용 고성능 AI모델을 구현해, 미국 인공지능과 반도체 기업들에 충격을 안겼던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이번에는 지적재산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오픈AI의 모델을 활용해 이른바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IBM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식 증류는 사전 학습된 대규모 모델인 교사 모델의 학습사항을 더 작은 학생 모델로 이전하는 것을 목표하는 머신러닝 기술"이다.
더 작은 학생 모델이 교사 모델을 모방하도록 학습시키는 것인데,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만 경쟁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것은 오픈AI 약관 위반에 해당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29일 오픈AI 관계자를 인용해 "지식 증류 과정이 일부 발견됐고, 딥시크가 이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도 오픈AI 파트너사인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딥시크가 자사 API 를 사용하는 정황을 파악하고 해당 계정들을 차단한 뒤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관련 의혹을 적극 제기하고 나서면서 일이 커지는 모양새다.
백악관 AI/가상화폐 정책 총괄차르인 데이비드 색스는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오픈AI 모델에서 지식 증류를 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며 "향후 몇 달 동안 주요 AI기업들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식 증류 의혹이 제기되면서 딥시크가 개발비용으로 74억원 수준의 개발비용만 들였다는 발표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스위스 세인트 갈렌 대학교의 나오미 헤프너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의혹이 사실이라면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AI모델을 학습시켰다는 주장은 기만"이라며 "그런 저비용으로 학습이 실제로 가능한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AI기업들이 중국 AI기업들의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지만 몇몇 언론들은 미국 AI기업들도 언론사 기사나 저명한 작가들의 도서를 무단으로 학습시켜 지적재산권 침해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꼬집기도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장규석 기자 2580@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인구, 늘어봤자 정치인이나 좋아…지방 소멸 대위기? 과장됐다"[어쩌다, 지방?]
- [단독]폭동 전날 "국민저항" 언급 52만 유튜버…과거 폭력 선동 유죄
- 에어부산 화재, "테러 용의점 없다"..그렇다면 원인은?
- 조기 대선 꿈틀대는 잠룡들…이재명 독주 깰까
- 헌정사 최초 현직 대통령 구속…보수 텃밭 TK 민심 어디로?
관련링크
- 이전글"벌어서 다 과징금 내겠네" 새해부터 이통3사 울상, 왜? 25.01.30
- 다음글네이버·카카오, 엇갈린 4분기 운명…올해 AI·커머스 명운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