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딥시크 돌풍 견제…"데이터 무단수집 가능성" [中 AI 딥시크 충격...
페이지 정보

본문
오픈AI·MS, 도용여부 조사돌입
트럼프정부, 엔비디아 수출 제한
【파이낸셜뉴스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돌풍이 미국의 AI 산업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자 미국 민관이 전방위 압박에 나섰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는지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저사양 칩의 대중국 수출까지 막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딥시크는 오픈AI보다 크게 낮은 비용으로 챗GPT와 맞먹는 성능의 AI 모델을 선보이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픈AI는 오픈AI의 데이터가 딥시크와 관련된 그룹에 의해 허가 없이 무단으로 획득됐는지 조사 중이다. 이와 관련, 트럼프 정부의 AI·가상자산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는 "딥시크가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오픈AI가 이 사실에 대해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오픈AI는 중국에 기반을 둔 기관들이 자사 AI 도구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빼내려고 하는 여러 시도를 목격했다며, 이는 증류라고 불리는 기술적 과정을 통해 자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자사 모델을 증류하려 한다고 의심되는 계정을 금지했고, MS와 협력해 이런 시도의 배후에 있는 주체를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증류는 AI 모델이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오픈AI는 자사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해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술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오픈AI는 "딥시크가 우리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서비스약관을 위반했다는 증거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오픈AI는 "적과 경쟁자가 가장 강력한 미국 기술을 탈취하려는 노력을 막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 역시 AI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대중국 수출에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아직 출범 초기인 만큼 논의가 매우 초기 단계라면서도 엔비디아의 H20 칩 제품으로 수출통제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을 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기존 대중국 수출통제에 따라 저사양으로 출시한 제품이다.
theveryfirst@fnnews.com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女아나운서 "나체 男연예인이 침실로.." 성상납 폭로
→ 씨스타 소유 "길에서 정신 잃었는데 누가 몸 만지는..."
→ 시골로 MT 간 여대생, 길 잃은 후 임신까지.. 사연
→ 경기도 아파트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 알고보니 무안공항의...
→ 만삭 손담비 안타까운 소식 4월 출산 앞두고...
트럼프정부, 엔비디아 수출 제한
![]() |
【파이낸셜뉴스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돌풍이 미국의 AI 산업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자 미국 민관이 전방위 압박에 나섰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는지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저사양 칩의 대중국 수출까지 막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딥시크는 오픈AI보다 크게 낮은 비용으로 챗GPT와 맞먹는 성능의 AI 모델을 선보이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픈AI는 오픈AI의 데이터가 딥시크와 관련된 그룹에 의해 허가 없이 무단으로 획득됐는지 조사 중이다. 이와 관련, 트럼프 정부의 AI·가상자산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는 "딥시크가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오픈AI가 이 사실에 대해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오픈AI는 중국에 기반을 둔 기관들이 자사 AI 도구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빼내려고 하는 여러 시도를 목격했다며, 이는 증류라고 불리는 기술적 과정을 통해 자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자사 모델을 증류하려 한다고 의심되는 계정을 금지했고, MS와 협력해 이런 시도의 배후에 있는 주체를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증류는 AI 모델이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오픈AI는 자사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해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술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오픈AI는 "딥시크가 우리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서비스약관을 위반했다는 증거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오픈AI는 "적과 경쟁자가 가장 강력한 미국 기술을 탈취하려는 노력을 막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 역시 AI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대중국 수출에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아직 출범 초기인 만큼 논의가 매우 초기 단계라면서도 엔비디아의 H20 칩 제품으로 수출통제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을 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기존 대중국 수출통제에 따라 저사양으로 출시한 제품이다.
theveryfirst@fnnews.com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女아나운서 "나체 男연예인이 침실로.." 성상납 폭로
→ 씨스타 소유 "길에서 정신 잃었는데 누가 몸 만지는..."
→ 시골로 MT 간 여대생, 길 잃은 후 임신까지.. 사연
→ 경기도 아파트서 숨진 채 발견된 남성, 알고보니 무안공항의...
→ 만삭 손담비 안타까운 소식 4월 출산 앞두고...
관련링크
- 이전글"이걸 볼줄이야?" 다들 포기했는데…위기의 삼성 역대급 제품 예고 25.01.30
- 다음글IT 후진국 日도 하는데…韓은 "5년째 시범사업"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