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52 장영실상] 미세한 폭도 세밀하게 도포…스마트폰 빛샘현상 잡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 IR52 장영실상 ◆
새 디스플레이 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소비자들이 유심히 살피는 요소는 빛샘 현상 발생 유무다. 빛샘 현상은 디스플레이와 본체 사이로 빛이 새어나오는 것으로, 많은 제품들이 이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낮추는 주요 결함으로 꼽힌다.
2025년 4주 차 IR52 장영실상 수상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와 에이치비HB솔루션, 엔젯이 공동 개발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용 초정밀 빛샘방지 도포ELB 디스펜서 장비가 선정됐다.
이 장비는 OLED 스마트폰·태블릿 제품의 빛샘 현상을 막는 잉크를 정밀하게 도포한다. 기존 장비들은 측면 도포 시 잉크가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었던 반면, 해당 장비는 측면까지 세밀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 기존 장비들은 1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내외의 선폭에만 잉크 도포가 가능했는데, 이번에 수상한 장비는 수십 ㎛의 미세 선폭 도포도 가능하다.
휴대전화 카메라 홀 주변과 패널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은 카메라나 센서 오작동을 유발한다. 업계에서는 해당 부분들에 잉크를 정밀하게 발라 빛샘 현상을 차단한다.
문제는 일반적인 공압으로 잉크를 밀어서 토출하는 장비의 경우 측면 도포 시 잉크가 흘러내린다는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에이치비솔루션, 엔젯 공동 연구팀은 EHD 기반의 신기술을 장비에 도입했다. 홍승민 삼성디스플레이 생산기술연구소 PL은 "EHD는 집속된 전기장으로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어 정밀 도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장비는 2021년 개발에 착수해 2022년부터 스마트폰 제작에 활용됐다. 홍 PL은 "2023년까지 연간 약 17조원의 매출에 기여했다"며 "향후 가상현실VR, 폴더블, 프리미엄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장비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업그레이드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다양한 OLED 제품을 양산할 때 필수 기술로 적용처를 확대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 매일경제신문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고재원 기자]
▶ “욕심을 너무 부렸나”…재개발 보상금 더 받으려다가 결국
▶ “경기도 다낭시 제쳤다”...명절 해외여행족 최애 도시는 바로 여기
▶ “5년·5000만원, 청년계좌 안부럽네”…전국 첫 은퇴자용 ‘이것’ 화제
▶ “제발 영웅인 척 좀 하지마”…항공계 종사자들, ‘에어부산 화재’ 비상문 연 승객 비판
▶ “설날 5천만원 꽂힌 통장 부럽다”...연봉 50% 성과급 쏜 ‘이 회사’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iR52 장영실상] 미세한 폭도 세밀하게 도포…스마트폰 빛샘현상 잡았다](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mk/2025/01/30/20250131_01110116000001_L00.jpg)
새 디스플레이 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소비자들이 유심히 살피는 요소는 빛샘 현상 발생 유무다. 빛샘 현상은 디스플레이와 본체 사이로 빛이 새어나오는 것으로, 많은 제품들이 이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낮추는 주요 결함으로 꼽힌다.
2025년 4주 차 IR52 장영실상 수상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와 에이치비HB솔루션, 엔젯이 공동 개발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용 초정밀 빛샘방지 도포ELB 디스펜서 장비가 선정됐다.
이 장비는 OLED 스마트폰·태블릿 제품의 빛샘 현상을 막는 잉크를 정밀하게 도포한다. 기존 장비들은 측면 도포 시 잉크가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었던 반면, 해당 장비는 측면까지 세밀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 기존 장비들은 1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내외의 선폭에만 잉크 도포가 가능했는데, 이번에 수상한 장비는 수십 ㎛의 미세 선폭 도포도 가능하다.
휴대전화 카메라 홀 주변과 패널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은 카메라나 센서 오작동을 유발한다. 업계에서는 해당 부분들에 잉크를 정밀하게 발라 빛샘 현상을 차단한다.
문제는 일반적인 공압으로 잉크를 밀어서 토출하는 장비의 경우 측면 도포 시 잉크가 흘러내린다는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에이치비솔루션, 엔젯 공동 연구팀은 EHD 기반의 신기술을 장비에 도입했다. 홍승민 삼성디스플레이 생산기술연구소 PL은 "EHD는 집속된 전기장으로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어 정밀 도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장비는 2021년 개발에 착수해 2022년부터 스마트폰 제작에 활용됐다. 홍 PL은 "2023년까지 연간 약 17조원의 매출에 기여했다"며 "향후 가상현실VR, 폴더블, 프리미엄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장비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업그레이드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다양한 OLED 제품을 양산할 때 필수 기술로 적용처를 확대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 매일경제신문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고재원 기자]
▶ “욕심을 너무 부렸나”…재개발 보상금 더 받으려다가 결국
▶ “경기도 다낭시 제쳤다”...명절 해외여행족 최애 도시는 바로 여기
▶ “5년·5000만원, 청년계좌 안부럽네”…전국 첫 은퇴자용 ‘이것’ 화제
▶ “제발 영웅인 척 좀 하지마”…항공계 종사자들, ‘에어부산 화재’ 비상문 연 승객 비판
▶ “설날 5천만원 꽂힌 통장 부럽다”...연봉 50% 성과급 쏜 ‘이 회사’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딥시크, 뉴스 답변 83% 오류와 보안상 취약" 25.01.30
- 다음글다이아 잘 쓰는 법! 저니 오브 모나크 "상점보다 무조건 옳은 픽업"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