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페넴 내성 슈퍼 세균, 지난해 감염 사례 4만2827건…집계 이후 최대 ...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카바페넴 내성 슈퍼 세균, 지난해 감염 사례 4만2827건…집계 이후 최대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0회 작성일 25-01-19 09:45

본문

사망자 수도 역대 최대 규모 추정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은 4만건을 넘어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미 국립보건원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은 4만건을 넘어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미 국립보건원

cz_1737247505156_828120_1.jpg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슈퍼세균박테리아’ 감염 사례가 4만건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 신고 건수는 잠정 4만2827건으로 조사됐다.

슈퍼세균은 기존 항생제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슈퍼세균은 항생제 오남용으로 최근 빠르게 늘고 있으며, 감염증을 치료할 방법이 없어 희생자 규모도 커지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2050년 슈퍼세균 감염으로 연간 1000만명의 사망자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국내에서 신고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 건수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전년도인 2023년 3만8405건에서 11.5% 증가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은 2017년 전수 감시대상에 지정됐다. 2017년 5717건을 시작으로 2018년 1만건을 넘었다. 2021년 2만3311건으로 2배 가량 늘었으며 2022년에는 3만0548건을 기록했다. 감염 사례는 조사 시작 후 약 6년 만에 3배 이상 급증했다.

사망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2017년 37명이었던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 사망자는 2018년 143명, 2019년 203명을 기록했다. 이후 2020년 226명, 2021년 277명, 2022년 539명, 2023년 661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사망자 통계는 올해 6월 확정된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병철 기자 alwaysame@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46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14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