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원형탈모 많은 이유 있었네…국내 연구진 亞 면역 다양성 지도 완...
페이지 정보

본문
7개 집단 면역세포 126만개 분석 결과
"아시아 집단 유전적 특성 정보 밝혀내"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아시아인의 면역 다양성을 밝힌 지도를 완성했다. 한국을 비롯해 싱가포르, 일본, 태국, 인도 등 아시아인의 면역세포를 단일 세포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다. 24일 삼성서울병원은 박웅양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이 이끄는 ‘아시아 면역 다양성 아틀라스AIDA’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 ‘셀Cell’에 아시아인의 면역세포 특징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한국인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 T세포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 세포가 부족하면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발현돼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원형탈모다. 게티이미지
연구팀은 한국과 일본, 인도, 태국, 싱가포르 거주 중국인, 말레이시아인, 인도인 등 총 7개 집단에서 건강한 619명의 혈액 속 면역세포 126만여 개를 ‘최첨단 유전체 분석 기술scRNA-seq’을 이용해 단일세포 수준에서 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 T세포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조절 T세포는 외부에서 세균 등이 침입하면 우리 몸을 보호하려 생기는 면역반응을 관장하는 세포다. 이 세포가 부족하면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발현돼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원형탈모다. 원형탈모는 모발세포를 적군으로 오인해 공격하려 할 때 T세포가 제어하지 못해 생긴다.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 삼성서울병원 제공
면역세포의 비율 자체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면역항암제를 쓰더라도 치료 반응이 기대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반면 분석 대상이었던 B세포, NK세포 등 다른 주요 세포들은 큰 차이 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인과 싱가포르 거주 중국인은 면역세포 구성이 전체 평균에 가까운 균형 상태였으며, 싱가포르 거주 말레이시아인은 림프구의 일종인 B세포가 많이 관찰됐다. 인도계는 백혈구의 일종인 NK세포, 태국인은 골수계 세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같은 병을 앓는 환자에게 같은 치료제를 써도 사람마다 치료 반응이 다른 이유가 체계적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인종과 나이, 성별, 병의 진행 정도는 물론 세포의 유전적 특징까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환자별 맞춤형 치료 전략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나아가 단일세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유전적 요인이 질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면 궁극적으로 질환을 극복할 길도 열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을 이끈 박웅양 소장은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인종의 유전적 특성에 관한 핵심 정보를 밝힘으로써 미국이나 유럽이 아닌 아시아만의 시각을 가질 기회를 얻었다"며 "특히 미래 의료의 바탕이 될 단일세포 분석 기술을 우리나라가 주도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관련기사]
☞ "연봉 2억인데…다 갖춘 20대 초반 찾아요" 여친 조건 올린 30대 교수 뭇매
☞ "계좌이체 하지 마세요"…안성재 주의보 발령 나온 까닭이
☞ "나만 없어"…갈 때마다 품절이던 다이소 대박템, 이렇게 샀어요
☞ "17세 소녀가 50세 남성 대리모로 쌍둥이 출산"…발칵 뒤집힌 곳
☞ "왜 이럴까"…수족관서 70만원 유모차 빌려줬더니 들고 사라져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오락가락 토허제, 들썩이는 부동산?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나도 만져보자"…디자인에 끌린 50만원 투명폰, 치명적 단점은[테크... 25.03.25
- 다음글이해진 "네이버는 의료 AI에 진심…디지털 바이오 분야 집중 투자할 것" 25.03.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