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직장·대학가 문서 절반 이상 AI로 만들었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지난해 직장·대학가 문서 절반 이상 AI로 만들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0회 작성일 25-01-14 11:04

본문

자기소개서·과제·학위논문 등 지난해 직장과 대학가에서 만들어지는 문서의 절반 이상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만들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표절 탐지 전문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사 무하유는 2024년 한 해 동안 ‘GPT킬러’로 검사된 문서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총 173만7366건의 문서를 검사한 결과다. GPT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해 주는 전문 소프트웨어다. 현재 공기관, 학교 및 연구원, 사기업 등 3485여 개 기관에서 약 1000만 명이 사용 중이다.

분석 결과, 검사된 문서의 55.9%에서 챗GPT 활용이 감지됐으며, 생성형 AI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문서는 44.1%에 그쳤다. 검사 문서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대학 과제물이 70.04%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자기소개서 8.92%, 학위논문 6.22%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교수에게 제출된 대학 과제물 중 높은 표절률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2024년 2학기 동안 대학가 과제물 29만4239건을 검사한 결과, 27.33%가 표절률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학생들에게 AI의 올바른 활용 방법을 교육하고, 공정성과 책임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AI 표절에 대한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GPT킬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안상현 기자 insula@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17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31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