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인공 장기의 초미세 전기신호도 읽어낸다
페이지 정보

본문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뇌 오가노이드의 매우 작은 전기신호까지 읽어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현주 교수 연구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부장·이미영 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오가노이드의 비침습적 전기생리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인간 유래 줄기세포를 기반으로 제작되는 인공 장기를 말한다.
신약 개발 단계에서 독성·효능 평가를 위해 필수적인 동물실험을 대체할 실험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오가노이드 연구는 유전자 분석에 집중돼 있어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오가노이드의 다양한 기능성 중 전기생리신호의 경우 오가노이드와 미세전극의 접촉이 필요한데, 심장과 뇌 오가노이드는 전기 신호가 너무 작은 데다 신호 크기가 수백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에서 수 밀리미터㎜까지 다양해 측정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오가노이드의 크기와 형태에 맞춰 스스로 늘어나 그 표면에 밀착할 수 있는 고신축성 미세전극 어레이를 개발, 오가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전기생리신호의 실시간 변화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돌출형 구조 덕분에 오가노이드에 전극을 더 강하게 밀착시켜 오가노이드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해 12월 15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young@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대구서 저수지 얼음 깨져 중학생 1명 사망…경찰 "조사 중"
- ☞ 이순재·나훈아·조용필·최경주…무대·필드 누비는 시니어 스타
- ☞ [삶] "한국 1년내 핵폭탄 3∼6개 제조가능…5년내 北 추월할수 있다"
- ☞ [샷!] "울지 말고 잘 가"…참사로 둥이도 가족을 잃었다
- ☞ 비욘세, LA 산불 이재민 지원 위해 37억원 기부
- ☞ [팩트체크] 오겜2는 정말 우리나라 전통놀이인가?
- ☞ 동거녀 살해 후 16년간 시멘트 암매장 50대, 징역 30년 구형
- ☞ 외부 드러난 경호처 배낭…관저 중무장 순찰 전술복 요원
- ☞ 남학생 제자에게 성범죄…대전교육청 "초등 여교사 중징계 처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주사 없이도 GLP-1 비만치료제 효과 얻는 법 찾았다…비결은 똥 25.01.14
- 다음글CES 뒤흔든 로봇…네이버·카카오 선제 투자 빛볼까 25.01.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