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젠슨 황 만났다…"하이닉스, 엔비디아 요구보다 빨라져" [CES 20...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5’ 현장을 찾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만났다.

최태원 SK 회장이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최 회장은 개막 이틀차인 이날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황 CEO와 만난 사실을 밝혔다. 어떤 대화를 나눴냐는 질문에 “이것 저것 많아서 구체적으로 질문해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관련 질문이 나오자 “중요하게 확인할 수 있었던 건,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항상 엔비디아 개발 속도보다 뒤쳐져 있어서 더 빨리 개발 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는데, 최근엔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를 조금 넘어서고 있다. 역전되기 시작했다”고 답했다. 이어 “올해 공급량은 이미 다 결정돼 있었다. 공급량 역전 상황이 언제 다시 뒤집힐지 모르지만, 개발 속도를 선제적으로 높여 헤드투헤드Head-to-Head로 서로 빨리 만드는 것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최태원 회장은 국내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젠슨 황 CEO가 6세대인 HBM4을 더 빨리 줄 수 없겠냐고 요구해 ‘노력해 보겠다’고 답했다”는 대화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CES에서 SK하이닉스는 5세대 HBM인 HBM3E 16단 시제품을 공개해 화제가 됐다.

지난해 4월,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 최태원 회장 SNS 계정
최 회장은 앞서 전날 황 CEO가 기자들에게 “삼성과 SK는 그래픽 메모리가 없는 것으로 아는데, 그들도 합니까”라고 물은 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엔비디아의 새로운 소비자용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갈 메모리GDDR7를 생산하는데, 황 CEO가 이를 모른다는 투로 말해 논란이 됐다. 최 회장은 “황 CEO가 강조하는 얘기는 ‘엔비디아는 그냥 AI 컴퍼니, GPU 회사가 아니라 컴퓨팅을 다루는 회사고 세상에서 컴퓨팅을 가장 잘 이해해서 관련 솔루션을 가장 효율적으로 찾아내고 만드는 회사’라는 것이다. 솔직히 그걸 잘하면 된다. 그 안에 칩이 어떤 게 들어가고 어떻게 됐다 하는 그런 디테일까지 다 외우고 다닐 순 없다. 저도 그렇지 않다. 저희가 어떤 제품, 어떤 솔루션을 쓰는지 다 알지 못할 수 있다. 그게 그렇게 대단한 이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어찌됐든 황 CEO가 가진 생각과 얘기는 잘 구현되고 있다”고 말했다.
황 CEO가 CES 기조연설을 통해 강조한, AI 로봇과 관련한 논의도 나눴다고 했다. 최 회장은 “피지컬physical·물리 AI 관련해서 의견을 교환했다. 한국은 제조업이 강하고 노하우도 많이 있다. 황 CEO도 디지털 트윈이나 피지컬 AI 사업을 원하고 관련해 최근 황 CEO가 발표한 ‘코스모스’ 플랫폼이 존재하니까 앞으로도 같이하면 좋겠다, 좀 더 논의해보자는 정도의 얘기가 있었다. 뭘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는 건 정해져 있지 않다”고 밝혔다.
SK의 사업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AI 반도체도 하고 있지만, 새롭게 하는 건 AI 데이터센터 설루션이 될 수 있는 모델을 찾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관련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며 “AI는 좋든 싫든 해야만 하고 경쟁에서 뒤쳐지면 우리가 자랑하던 반도체건 조선이건 철강이건 모든 산업 경쟁력이 약화된다. 대한민국의 생존을 위해 인프라가 체계적으로 갖춰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주요 제조업의 AI 전환을 돕는 사업 모델을 구상 중이란 의미로 보인다.
━
반도체·AI 집중 관람…“폰 바꿔야겠네”에 웃음
간담회에 앞서 최 회장은 약 40여 분간 CES 전시관을 둘러봤다. 먼저 SK텔레콤ㆍSK하이닉스ㆍSKCㆍSK엔무브가 공동으로 꾸린 전시관에서 15분가량을 머물렀는데, 10분 인상은 SK하이닉스 반도체 제품을 꼼꼼히 살펴봤고 SK텔레콤이 북미 지역에서 출시할 AI 비서 서비스 ‘에스터’ 시연도 지켜봤다. 반도체와 AI를 집중적으로 점검한 것. AI 패키징 제품 앞에선 “방금 팔고 왔다”며 웃어 보였고, 에스터 시연에 대해 “파운데이션 모델은 어떤 것이냐” 등 몇 가지 질문을 던지며 구체적인 서비스 구현 방식을 듣기도 했다.

최태원오른쪽 SK그룹회장이
최 회장은 CES 전시관를 둘러본 뒤 “모든 것에 AI가 들어가기 시작했다는 걸 볼 수 있었다. 속칭 피지컬 AI라고 하는 로봇이나, 우리 주변 기기 안에 AI가 들어가는 것이 일상화되고 상식화 됐다. 그걸 확인한 자리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라스베이거스=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조한창 누구길래…尹탄핵심판 엄청난 변수됐다
▶ 살림남 이희철 사망…"건강했는데 하루아침에"
▶ 종말의 날, 3억 쥘 날만 기다렸다…그 교주 비밀
▶ 태국서 실종된 유명 배우 충격…삭발된 채 발견, 왜
▶ 케이크 먹은 일가족 3명 사망…며느리 체포, 무슨일
▶ "음란물 업로드 내 실수"…오겜2 박성훈 울먹였다
▶ 전남친 빚투 김지영, 2년만에 사과 "미성숙한 행동"
▶ 고현정 병실 사진 "놀랄만큼 아파, 큰 수술 마쳐"
▶ 관저 몰려간 與의원 44명, 尹 식사 제안 거절 왜
▶ "밤 11시엔 이것만" 흑백요리사 에드워드리, 뭔일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정민 yunjm@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삼성바이오로직스, 리가켐바이오와 ADC 개발 협업 확대 25.01.09
- 다음글"영화 무료 연 12→3회로 싹둑" 유재석도 분노 폭발…할인혜택 더 줄... 25.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