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세계 최대 IT쇼 개막…韓 기업 일상 속 AI 알리기 시동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CES 2025] 세계 최대 IT쇼 개막…韓 기업 일상 속 AI 알리기 시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6회 작성일 25-01-07 16:18

본문


미국 라스베이거스서 CES 2025 개막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나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더팩트 DB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나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SK그룹 등이 참가해 일상에 스며든 인공지능AI 기술 알리기에 적극 나선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한 재계 총수들과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도 CES 현장을 찾아 AI 기술 트렌드를 점검한다.

◆ 삼성·LG·SK, 일제히 AI 비전 구체화

CES 2025는 전 세계 160개국 4500여개 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이날부터 오는 10일까지 나흘간 개최된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다. 한국 참가 기업도 역대 최대인 1000여개 수준이다. 이들은 기술을 통한 연결Connect, 문제 해결Solve, 가능성 발견Discover의 메시지가 담긴 다이브 인Dive in을 주제로 기술 혁신 경쟁을 벌인다.

이번 CES 2025의 주인공은 AI다. 매년 CES에서 대규모 전시에 나서는 국내 기업들의 전시 주제만 보더라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가 기업 중 가장 넓은 3368㎡약 1019평 규모 전시관을 마련한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초개인화를 위한 홈 AI를 제안한다. 홈 AI는 AI 기술로 집안 시스템을 편리하게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관람객들은 미래형 집을 경험할 수 있다. 효율적인 집, 건강을 챙겨주는 집, 사랑하는 가족을 돌볼 수 있는 집, 생산성을 높여주는 집, 새로운 경험을 보여주는 집 등 5가지 홈 AI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LG전자도 AI에 올인했다. 집, 차량, 사무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LG만의 AI 비전과 혁신을 구체화한 전시관2044㎡을 운영한다. AI로 집에서 누리는 일상의 가치와 편리함을 경험하거나, AI 기반의 콘셉트 차량에서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를 체험하는 식이다. AI를 통해 일상의 다양한 공간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매끄럽게 연결되는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등 4개 계열사 공동 전시관을 마련했다. 다양한 AI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 인류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AI 사업 비전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AI 데이터센터 노하우와 AI 기반 기술·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사들의 AI 솔루션 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시연 중심의 CES 전시관을 운영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 등 재계 총수들도 CES 2025 현장을 찾을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CES 2024의 스타트업 통합관을 방문한 최태원 회장. /대한상의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 등 재계 총수들도 CES 2025 현장을 찾을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CES 2024의 스타트업 통합관을 방문한 최태원 회장. /대한상의

◆ 재계 총수도 CES 현장 찾아 AI 공부

재계 총수들도 CES 2025 개막일에 맞춰 라스베이거스를 방문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년 연속 현장을 찾는다. 이번 출장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 등이 동행한다. AI 토탈 솔루션을 강조하고 있는 최태원 회장과 경영진은 국내외 주요 기업관을 관람하며 첨단 AI 기술 트렌드를 점검하고,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 만나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최태원 회장이 CES를 계기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재회할지 여부도 재계 안팎의 관심을 받고 있다.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협력 중인데, 이번에 만남이 이뤄진다면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수 있다. 두 사람은 지난해 4월 엔비디아 본사에서 만나 AI 분야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전날 진행된 젠슨 황 CEO의 CES 기조연설에는 1만명 이상 몰리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구자은 LS그룹 회장도 주요 경영진과 함께 CES 2025에 참석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매년 업계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CES 현장을 찾고 있다.

이밖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올해 처음 CES에 참석할 예정이다. 6년 연속 CES 혁신상을 받은 워너-뷰티 AI를 포함해 다양한 최첨단 기술을 직접 살펴보고, 북미 사업 현황도 점검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의 CES 2025 참석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IT 관련 기업 CEO들은 CES 2025에 총출동한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과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전시 행사를 직접 챙기고, 유영상 사장 외 김영섭 KT 대표, 이상엽 LG유플러스 CTO 등 다른 이동통신사 경영진은 참관단을 꾸려 현장을 누빈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문혁수 LG이노텍 사장도 현장을 찾아 비즈니스 미팅을 갖는다.

한종희 부회장과 조주완 사장은 CES 2025 개막 전에 미디어·파트너를 대상으로 열린 AI 비전 발표 행사의 대표 연사로 나서기도 했다. 두 사람 모두 자사 AI 기술이 스마트홈뿐만 아니라 일상의 다양한 공간에서 제품·서비스로 구현돼 최상의 연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향후 AI 리더십 확보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rock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인기기사]

· "온정적으로 보기 어렵다"…민주, 공수처 향해 차가운 시선

· 1조 클럽 복귀한 증권가, CEO 새해 첫 주문은 성장

· [TF초점] 지거전 유연석, 성공적인 인생 남주의 귀환

· 여행 위축에 항공유 수요 급감 우려…정유업계 예의주시

· 극우 치닫는 국민의힘, 野 내란죄 철회 빈틈 반격

· 파격 인사 채수웅 신한저축은행 대표, 진옥동 회장 기대 부응할까

· [TF경륜] 그랑프리로 알아본 25년 상반기 훈련지별 대표 선수

· [박종권의 나우히어] 징크스와 정치...사도는 심판을 피할 수 없다

· 선관위 출동 문상호 재판행…"실탄 준비" 지시 정황

· 송가인, 2월 11일 4집 발매…22일 심수봉 곡 선공개

- 특종과 이슈에 강하다! 1등 매체 [더팩트]
- 새로운 주소 TF.co.kr를 기억해주세요! [http://www.TF.co.kr]
- 걸어 다니는 뉴스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아이폰]
- [단독/특종] [기사제보] [페이스북] [트위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50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24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