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꺼져도 유해물질 남아"…장기 건강영향 주의해야[사이언스 PICK]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 LA서도 1월 대형 산불…도시까지 덮치며 주택 수천채 태워
자연 뿐 아니라 주택 불타며 유해 화학물질 발생 위험 더 커져
韓 경상권 산불도 주택가까지 피해…피해 주민 건강 영향도 살펴야
자연 뿐 아니라 주택 불타며 유해 화학물질 발생 위험 더 커져
韓 경상권 산불도 주택가까지 피해…피해 주민 건강 영향도 살펴야
![quot;산불 꺼져도 유해물질 남아quot;…장기 건강영향 주의해야[사이언스 PICK]](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ns/2025/03/29/NISI20250328_0001803052_web.jpg)
[안동=뉴시스] 산불진화대원들이 27일 밤 경북 안동시 일직면 원호리 도로가로 내려온 불길을 진화하고 있다. 2025.03.28. 사진=경북소방본부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29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하버드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등 10여개 대학·기관이 지난 1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광역권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이 남긴 장기 영향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들 공동연구진은 특히 LA 광역권 북부에 있는 알타데나 지역에서 산불 진화 이후에도 남아있는 실내·외 오염 물질의 성분과 장기 잔류 여부, 이같은 오염 물질에 노출된 이들의 건강 상태를 추적하는 장기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LA 지역에서 발생했던 대형 산불은 강풍을 타고 주거 지역까지 퍼졌고, 이로 인해 최소 수천채 이상의 주택이 불에 타 파괴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연구진의 초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LA 지역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 안팎에서는 산불 연기로 인해 가장 흔히 발생하는 화학물질인 벤젠이 고농도로 검출됐다.
고농도 벤젠에 장기간 노출되면 빈혈, 백혈병, 생리불순, 저체중아 출산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벤젠 자체는 산불로 인한 연기 등에서 흔히 검출되지만, LA 산불과 같이 자연과 도시 등 거주지가 함께 불탄 상황에서는 보다 더 장기간 잔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LA 산불 뿐 아니라 2021년 콜로라도주 산불 당시에도 화마에서 살아남은 주택을 검사한 결과 당초 몇 시간~며칠이면 사라져야 할 벤젠이 수주 이상 잔류했던 것으로 파악된 바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못했다.
벤젠은 자연적인 산불에서도 만들어지지만 화마가 주택들을 불태우면서 산불로 인한 연기 성분은 더 복잡하고 위험해졌다. 주택 내에 있는 페인트·배터리·비닐 외장재·유리섬유 단열재·전선·나일론 옷·고무 타이어 등까지 태우면서 유해 화학물질이 만들어진 것이다.
LA 산불 당시에는 알타데나에서 수㎞ 이상 떨어진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칼텍에서도 건물 내부에 유입된 재에서 고농도 납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지역 인근의 생존 주택에서도 오염 물질이 섞인 연기와 재가 스며들며 실내 먼지, 공기, 인근 토양 등에서 납·리튬·벤젠·플라스틱 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이에 공동연구진은 산불 피해를 받은 주택의 실내외 공기질, 수돗물, 인근 토양, 실내 유입 재, 가전에 남은 잔존물질 등을 대상으로 종합 분석에 나섰다. 이번 연구는 약 2500만 달러약 367억원 이상의 비용을 들여 향후 10년에 걸친 장기 계획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 7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인근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에서 발생한 팰리세이즈 파이어 산불이 주변을 휩쓸고 있다. 이날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주민 최소 3만 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소방 당국은 소방관 250여 명을 투입해 화마와 싸우고 있지만, 건조한 기후에 강풍까지 불면서 진압에 난항을 겪고 있다. 2025.01.08.
연구진은 실리콘 팔찌, 혈액·소변 검사, 폐 기능 측정을 통해 소방관 및 주민의 체내 노출 물질을 추적하고 있다. 일부 소방관들이 화재 현장에 실리콘 팔찌를 착용하고 들어갔는데, 이 팔찌는 몸에 흡수된 화학물질을 포착해 어떤 오염물질에 노출됐는지를 보여준다. 또 일부 인원을 대상으로는 20년 간 추적조사까지 계획 중이다.
특히 화재 직후가 아니라 수개월~수년 후에 호흡기 질환, 면역계 이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장기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라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하버드대의 환경전문가 카리 나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공기·물·토양을 동시에 측정하고, 그 대상도 집과 학교 실내 공간까지 포함하는 첫 사례다. 기억 T세포 하나가 림프종으로 발전하는 데에는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며 장기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연구진은 사람의 주거지까지 불태우는 대형 산불 문제가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인바이런멘털 리서치 레터스의 2023년 게재 논문에 따르면 2001년 이후 도시-야생이 만나는 경계 지역이 24% 증가했고,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의 우려대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도 자연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거주하는 마을까지 퍼지며 인명·재산 피해를 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국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당장의 큰 산불이 잡혀가고 있는 가운데, 후속 조치로 실내 오염물질 잔류 여부, 주민 노출 실태, 장기 건강 영향에 대한 조사나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산불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언스는 미국의 산불 피해 추적 연구를 소개하며 "도시로 번진 산불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며 "특히 주택 내부에 남은 오염물질이 장기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lt;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gt;
◇ "옷 다 벗고"…김수현, 17세 김새론에 보낸 카톡
◇ "김수현, 미성년 김새론과 성적 접촉 했어도…"
◇ 윤후, 송지아에 12년 만의 고백 "너 좋아했나 봐"
◇ 1200억 복권 당첨됐는데…한 푼도 못 받을 위기, 왜?
◇ 10년 간호 남편 숨지자…전처 자식들 "집 비워주세요"
◇ 최준희, 96→44㎏ 다이어트 후 과감 노출
◇ 올초 결혼 예고했던 연애남매 김윤재·이윤하 파혼
◇ 7억 도박 슈 "좋은 곡 받아"…가수 컴백 예고
◇ 김부선 "이재명 무죄에 김샜다"
◇ 배성재 "♥14살 연하 김다영 아나와 혼인신고만"
◇ "노리개질 6년"…설리 오빠, 또 김수현 저격했나
◇ 66세 김연자, ♥남친과 15년째 열애 중
◇ 유튜버 보겸, 산불피해 구독자에 돈뭉치 건넸다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왜 남편에게 사과?"
◇ 15세 연상과 결혼 소희, 물오른 미모
◇ 에일리 남편 최시훈 "호스트바 루머 억울"
◇ 정수기 설치 실수로 5년간 폐수 마셨다…간 손상
◇ 김효진, 연하 남편 공개…"목사 아니라 배우 같아"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 죄송…하루하루가 지옥"
◇ 민지, 팀 탈퇴…"갑작스런 소식 죄송"
관련링크
- 이전글WMO "마지노선 무너졌다" 공식 인정…지구에 드리워진 어둠 [지금이뉴스]... 25.03.28
- 다음글"투표하면 200만달러 쏜다" 머스크, 이번엔 위스콘신 선거 지원 25.03.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