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없이 살빠진다" 획기적 방법…이걸로 비만 잡는다
페이지 정보
본문
- KAIST, 서재명 임대식교수 연구팀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지방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화탈분화시키며 지방조직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이는 등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체내 신진에너지 대사 변화를 통해 비만이나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을 제어할 방법이 제시됐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서재명 교수와 생명과학과 임대식 교수 공동연구팀이 대사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지방조직은 식사 후 여분의 칼로리를 지방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고 역할과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의 역할을 한다. 이 두 가지의 역할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우리의 대사 체계는 무너지고 당뇨 혹은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우리 몸이 이 두 가지의 기능을 조화롭게 관장하는지 분자 수준에서의 기전이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히포 신호전달체계의 얍타즈YAP/TAZ 단백질에 주목, 이 단백질의 지방세포 관련 기능을 규명했다. 식사 유무에 따라 지방조직 안에 있는 얍타즈 단백질의 활성상태가 변한다는 점, 이 단백질의 활성이 지방조직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한다는 점, 에너지소비 및 포만감을 관장하는 렙틴이라는 호르몬의 생성에 얍타즈가 직접적으로 관여를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생체 내에서 활성화된 얍타즈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라츠1/라츠2LATS1/LATS2 유전자를 생쥐의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결손시켰다. 지방세포 안에 있는 얍타즈의 지속적인 활성은 지방세포를 지방세포의 전구체, 즉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로 변화탈분화시키며 지방조직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분화를 통한 체지방의 감소는 에너지소비에 집중된 갈색지방의 활성화 혹은 운동과 같은 기존의 방법과 차별되는 방법이다. 또한 렙틴이라는 호르몬은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져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핵심적인 대사체계 조절 호르몬으로 30년 전에 처음으로 유전자 서열이 밝혀졌다. 하지만 어떻게 생성이 되는지 분자 수준에서의 기전이 알려지지 않았다. 서재명 교수는 “이번 연구는 1994년 렙틴의 유전자의 서열이 밝혀진 후 최초로 렙틴 발현의 전사 조절 기전을 밝혔다는 점에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지방세포의 압타즈의 활성 증가를 통해 혁신적인 비만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대사Nature Metabolism’ 5월 29일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nbgkoo@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15만년 전부터 매달 1억원 모아야…버핏 "180조원 기부할 것" ▶ ‘전여친 낙태 진실 공방’ 허웅 “故이선균 사건과 무관…언급 사과” ▶ ‘동탄 화장실 성범죄 누명 사건’ 일파만파…‘경찰서장 파면 운동’ 1만명 돌파 ▶ “면발 절대 안 불어” 아무도 몰랐다…라면 ‘이렇게’ 끓여야 ▶ “와~여름이다!” 강릉 경포해수욕장 개장 첫날 8만명 ‘북적’ ▶ ‘항서매직’ 좋다 말았네…박항서 감독 “인도 대표팀 지원 안 해” ▶ "이 얼굴이 어떻게 미성년자야"…담배 팔아 영업정지 된 편의점주 억울 ▶ “이건 진짜 미쳤다” 아이유도 당했다…티켓값 500만원 뭇매, 결국 특단 조치 ▶ 남궁민에게 멜로를 찍게 하라[서병기 연예톡톡] ▶ 야구스타 양준혁, 가수 데뷔...한잔 더 하세발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
관련링크
- 이전글[게시판] 당근, 제1회 동네사장님 어워즈 24.07.01
- 다음글넥스원소프트, 세계 최초 전자여권 기반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 구축 24.07.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