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6년 백두산 대폭발, 1∼2개월 간격 두고 두 차례 발생" 서울대 연구진 ...
페이지 정보
본문
분화 때 황산염 에어로졸 대류권에 머물러 기후변화 영향 적어
국내 연구진이 ‘천년 분화’Millennium Eruption로 불리는 서기 946년 백두산 대폭발이 한두 달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발생했다는 점을 규명했다.
7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 연구팀은 지난 1일 네이처 자매지인 ‘커뮤니케이션스 지구amp;환경’Communications Earthamp;Environment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백두산 대폭발은 규모가 크다 보니 화산재가 10일에 걸쳐 7000㎞ 떨어진 그린란드까지 도달했다. 연구팀은 이 그린란드 빙하에서 발견한 화산재 성분을 분석해 대폭발 간격을 측정했다.
그린란드 빙하에는 물로 녹였을 때를 기준으로 20㎝ 이상의 눈이 매년 쌓이기 때문에 화산재가 발견된 깊이 차이를 측정하면 폭발 시차를 알 수 있는데, 분석 결과 백두산은 6∼56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폭발 간격이 1주 이내일 가능성은 2.5%에 불과했고, 1∼4주일 가능성은 40.2%, 4∼8주일 가능성은 55.2%, 8주 이상일 가능성은 2.1%였다.
학계에서는 백두산 대폭발이 규모가 컸는데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점이 미스터리로 여겨졌는데, 연구팀은 그 원인도 알아냈다.
화산 폭발로 인한 기후변화는 성층권에 진입한 황산염 에어로졸이 수년에 걸쳐 햇빛을 막는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린란드 빙하에 화산재와 황산염 에어로졸이 같은 시기에 쌓인 것을 발견함으로써 백두산 대폭발로 발생한 황산염 에어로졸이 대체로 대류권에 머무른 점을 밝혀낸 것이다.
안진호 교수는 "백두산 대폭발로 발생한 화산재의 깊이 간격을 정확하게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폭발 간격에 따라 재난 대응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강조했다.
박준우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명태균 “아크로비스타 방문 셀 수 없어…내가 천공보다 좋으니”
▶ “김건희 여사 패러디로 압력?”…주현영 SNL 돌연 하차에 커지는 의혹
▶ [속보]경인고속도로서 中국적 40대 女 운전 경차 역주행…7대 추돌해 “1명 숨지고 3명 다쳐”
▶ ‘강경준 불륜’ 용서한 장신영, 방송서 심경 고백…“잘못된 건가 생각”
▶ “좌파에 진심” 정유라, ‘우회전 차로서 좌회전’ 한 문다혜 조롱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국내 연구진이 ‘천년 분화’Millennium Eruption로 불리는 서기 946년 백두산 대폭발이 한두 달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발생했다는 점을 규명했다.
7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 연구팀은 지난 1일 네이처 자매지인 ‘커뮤니케이션스 지구amp;환경’Communications Earthamp;Environment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백두산 대폭발은 규모가 크다 보니 화산재가 10일에 걸쳐 7000㎞ 떨어진 그린란드까지 도달했다. 연구팀은 이 그린란드 빙하에서 발견한 화산재 성분을 분석해 대폭발 간격을 측정했다.
그린란드 빙하에는 물로 녹였을 때를 기준으로 20㎝ 이상의 눈이 매년 쌓이기 때문에 화산재가 발견된 깊이 차이를 측정하면 폭발 시차를 알 수 있는데, 분석 결과 백두산은 6∼56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폭발 간격이 1주 이내일 가능성은 2.5%에 불과했고, 1∼4주일 가능성은 40.2%, 4∼8주일 가능성은 55.2%, 8주 이상일 가능성은 2.1%였다.
학계에서는 백두산 대폭발이 규모가 컸는데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점이 미스터리로 여겨졌는데, 연구팀은 그 원인도 알아냈다.
화산 폭발로 인한 기후변화는 성층권에 진입한 황산염 에어로졸이 수년에 걸쳐 햇빛을 막는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린란드 빙하에 화산재와 황산염 에어로졸이 같은 시기에 쌓인 것을 발견함으로써 백두산 대폭발로 발생한 황산염 에어로졸이 대체로 대류권에 머무른 점을 밝혀낸 것이다.
안진호 교수는 "백두산 대폭발로 발생한 화산재의 깊이 간격을 정확하게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폭발 간격에 따라 재난 대응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강조했다.
박준우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명태균 “아크로비스타 방문 셀 수 없어…내가 천공보다 좋으니”
▶ “김건희 여사 패러디로 압력?”…주현영 SNL 돌연 하차에 커지는 의혹
▶ [속보]경인고속도로서 中국적 40대 女 운전 경차 역주행…7대 추돌해 “1명 숨지고 3명 다쳐”
▶ ‘강경준 불륜’ 용서한 장신영, 방송서 심경 고백…“잘못된 건가 생각”
▶ “좌파에 진심” 정유라, ‘우회전 차로서 좌회전’ 한 문다혜 조롱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아프리카TV→SOOP 전환 속도…法 "상표권 침해 볼 수 없어" 24.10.07
- 다음글"내가 쌌지만 정말 심하네" 지독한 그 냄새, 암 신호였다 24.10.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