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SKT 정보인권 보호 순위, 글로벌 통신사에 뒤처진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KT·SKT 정보인권 보호 순위, 글로벌 통신사에 뒤처진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2회 작성일 23-10-04 09:15

본문

뉴스 기사
오픈넷 보고서

통신 3사 로고. 연합뉴스


전문가 시민단체 오픈넷이 케이티KT와 에스케이텔레콤SKT·에스케이브로드밴드 포함의 가입자 정보인권 보호 정책 및 투명성 등을 정보인권순위RDR·Ranking Digital Rights 기업책임지수 방식으로 점수화해 글로벌 대형 통신사들과 비교해본 결과, 중하위 순위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회사의 기업책임지수를 지난해 알디알이 발표한 글로벌 대형 통신사들과 비교한 결과, 14개 비교 대상 통신사 가운데 케이티는 8위, 에스케이텔레콤은 10위에 그쳤다.

4일 오픈넷이 공개한 ‘규제에만 의지하면 이용자권리는 최소한만 보호된다’Bare Minimum: Overindulgence in Regulation Results in Poor User Rights 보고서영문를 보면,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의 알디알 방식 기업책임지수 총점은 각각 29점과 20점으로, 비교 대상 글로벌 통신사 14개 가운데 8위와 10위에 머물렀다. 텔레포니카가 57점으로 1위에 올랐고, 보다폰41점, 에이티앤티ATamp;T·40점, 도이치텔레콤35점, 텔레노르35점, 엠티엔MTN·34점, 아메리카모빌32점 등도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보다 앞섰다.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은 프라이버시 범주 지표 평가에선 평균 40.5점과 31점으로 각각 3위와 7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정부의 사용자정보 제공 요구에 대한 대응 프로세스를 공개하는지’P10a와 ‘알고리즘 시스템 개발 정책을 공개하는지’P1b 같은 지표에선 낮은 점수를 받았다. 오픈넷은 “정보·수사기관 통신자료 제공 요청의 경우, 2022년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면서 법적 제공 의무가 없어졌음에도 이용자보호 정책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2013년부터 통신자료 제공 요청을 일관되게 거부해온 것과 비교된다”고 짚었다.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은 ‘개인정보열람권 보장을 천명하는가’P8 지표 점수 순위에서도 각각 7위와 11위에 머물렀다.

오픈넷 ‘규제에만 의지하면 이용자권리는 최소한만 보호된다’ 보고서 발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의 망중립성F9 지표 점수도 각각 16.67점과 33.34점으로 8위와 5위에 그쳤다. 오픈넷은 “두 통신사 모두 ‘합리적 네트워크 관리’를 하겠다는 의사만 정책에 밝혀놓았을 뿐 망중립성을 보장하겠다는 의지는 읽기 어려웠다”며 “특히 케이티는 2012년 삼성 스마트티브이 차단, 2015년 피투피P2P 트래픽 차단, 2012~2013년 카카오보이스 차단, 에스케이텔레콤은 카카오보이스 차단, 2014~2018년 11번가 제로레이팅 등을 한 상황에 비춰보면, ‘망 운영 및 접속료 부과에 있어 자사 또는 계열사의 콘텐츠를 선호하지 않겠다’거나 ‘자사나 계열사의 서비스 매출을 보호하기 위해 트래픽을 차별하지 않겠다’는 정책의 천명이 없었다는 점이 아쉽다”고 설명했다.

두 통신사는 알고리즘 개발G4d 등의 지표에서도 소극적인 정책 표명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예를 들어, 이 지표에서 텔레포니카는 100점, 에이티앤티는 63점을 받았는데,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은 0점으로 평가됐다. 오픈넷은 “에이티앤티가 이용약관에 ‘새로운 서비스 및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등의 과정에서 인권 침해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한다’라고 명시한 반면,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은 이에 대한 정책 표명이 없었다”고 밝혔다.

알디알 기업책임지수는 정보인권, 프라이버시, 인터넷 보안 공동체에서 15년 이상 진행된 연구를 참고해 수립된 기준으로 기업을 평가한다. 이 기준에는 유엔UN 기업과 인권에 관한 이행지침이 포함된다. 전 세계 인권 운동가, 정책 입안자, 투자자 등은 알디알 기업책임지수를 통해 정보를 확보하며, 기업들은 정책 개선 때 알디알 기업책임지수를 활용한다.

알디알 기업책임지수는 크게 거버넌스Governance, 프리덤Freedom, 프라이버시Privacy 등 세 범주로 구성돼 있다. 또한 각 범주는 59개 지표로 세분화돼 있다. 거버넌스 범주의 지표는 ‘표현의 자유 및 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이용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강력한 경영 프로세스기업의 경영이념과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프리덤 범주의 지표를 통해서는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얼마나 존중하고 보장하겠다’는 공개적인 입장표명을 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본다. 프라이버시 범주의 지표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겠다는 공개적인 입장 표명을 한 절차와 기술적 수단 등을 평가한다.

프리덤과 프라이버시 범주 지표는 모두 국제인권기준을 따른다. 각 지표에 대한 답은 평가대상 기업이 공식적으로 공개하고 있는 정책, 약관, 경영보고서, 인권보고서 등에서 찾는다.

오픈넷은 “구체적으로 알디알 방법론은 디지털 기업이 자사의 수익을 위해 이용자의 정보와 이용자가 생산한 정보를 어떠한 규정자사의 정책은 물론 정부의 법적 규제를 모두 포함과 기술적 방법을 통해 취득하고 재가공해 활용하고 있는지, 그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지,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 활용 과정에서 어느 정도로 통제권을 가지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등으로 설계되어 있다”며 “강제적 개입을 통해 기업의 핵심 기술 공개를 요구하는 등의 갈등과 충돌 과정 없이도 분석 대상 기업의 정책적 투명성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알디알 방법론의 최대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퇴근하고 오니 경매 안내문”…전세사기특별법 사각지대 ‘다가구’

매카시 하원의장 해임안 사상 첫 가결…미국도 ‘대결 정치’ 극단화

압록·두만강변 곳곳 “공사중”…북녘마을 풍경이 달라졌다

교실분리한 문제학생 누가 맡나…예산·인력 없는 ‘생활지도 고시’

‘식빵 언니’ 왜 거기서 나와?…‘국대 레전드’ 해설위원 입담 대결

항저우 선수단엔 84살도, 9살도 있다…어느 종목? [아하 항저우]

[단독] ‘잼버리 뒷수습’ 지방공무원 동원…초과근무수당은 안 줬다

[단독] 청와대 이슈 쏟아진 날…대변인 김행, ‘김건희 전시’ 갔다

3년 연속 엉터리 세수예측…기재부의 오발탄에 실린 의도?

기재·산업·금융위 간부, 줄줄이 삼성 앞으로…미전실 부활설 ‘솔솔’

한겨레>


▶▶소방관의 오늘을 지켜주세요 [한겨레 캠페인]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 네이버에서 구독 클릭!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00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01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