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하게 뜬 보름달, 3년 뒤면 한국 첫 흔적 새긴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환하게 뜬 보름달, 3년 뒤면 한국 첫 흔적 새긴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9회 작성일 23-10-02 07:01

본문

뉴스 기사
달 궤도선 다누리, 임무 종료 방안으로 2026년 달 충돌 검토
연료 소모 최소화 동결궤도 활용도 검토…"내년 하반기 논의 후 결정"

환하게 뜬 보름달, 3년 뒤면 한국 첫 흔적 새긴다?다누리가 달 상공에서 촬영한 지구-달 사진 공개
서울=연합뉴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지난달 17일 다누리의 궤도진입 기동 이후 달 상공에서 다누리가 촬영한 달 지표와 지구 사진 일부를 공개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다누리가 달 상공 344km에서 촬영한 지구. 2023.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가 임무를 마친 후인 2026년 달에 충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누리가 달에 떨어지면 정부가 달에 착륙선을 보내기로 예정한 2032년보다 6년 앞서 달에 한국의 첫 흔적을 새기는 임무가 된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다누리는 2025년까지 예정된 달 관측을 수행한 뒤, 임무 종료 방식 중 하나로 달 표면에 충돌해 충돌 직전까지 영상을 확보하는 방안을 설정했다.

달 궤도선은 연료에 따라 임무 기간을 정하는데, 임무를 마치고 연료를 다 쓰면 궤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는 궤도선이 통제를 벗어나지 않도록 달에 일부러 충돌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충돌은 달 착륙선이 달에 부드럽게 내려앉는 소프트 랜딩연착륙과 구분하는 하드 랜딩경착륙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옛 소련의 달 궤도선들을 비롯해 일본의 달 궤도선 히텐, 유럽의 스마트, 중국 창어 1호 등 각국의 첫 달 궤도선도 고의 충돌을 택했다.

이런 충돌 과정은 지구에서 관측 기회로 삼거나 낙하 과정에서 달 착륙선에 활용할 정보를 얻는 등 과학적인 활용도도 크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PYH2022122814310001300_P2.jpg다누리 달궤도 진입 결과 발표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다누리 달 궤도 진입 결과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2.12.28 yatoya@yna.co.kr

다만 충돌 대신 달을 특정 경사각으로 돌며 연료 소모를 최소화하고 달을 돌 수 있는 궤도인 달 동결궤도가 새로 개발되면서 다누리도 이를 활용하는 것 또한 검토되고 있다.

달 동결궤도는 NASA가 연구를 통해 최근 개발한 궤도로, NASA의 달 궤도선 LRO가 이를 유일하게 활용한 사례로 꼽힌다.

LRO는 2009년 발사 이후 임무 기간이 3년이었지만 달의 남극을 30km 고도, 달의 북극을 165km 고도로 통과하는 동결궤도로 들어갔다.

LRO는 지난달 19일 달 착륙에 실패한 러시아 달 착륙선 루나 25호의 흔적을 찾아내는 등 현재까지도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항우연은 향후 임무와 탑재체의 추가 임무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해 내년 중 다누리의 최종 임무 종료 계획을 결정할 계획이다.

다누리 발사 당시 달탐사사업단장으로 프로젝트를 주도한 김대관 항우연 미래혁신연구센터장은 "내년 하반기 2025년도 궤도를 결정할 때 함께 논의돼야 하는 사항"이라며 "탑재체별로 요구하는 사항이 다를 수 있어 관련 논의를 이제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의 추락을 택할 경우 아폴로 착륙지점 등 NASA가 역사적 장소로 관리하는 헤리티지 사이트를 피해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NASA가 미국 주도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협정 참여국에 달의 문화유산을 보호해달라고 권고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 김 센터장은 "미국에서는 아직 전혀 요구사항이 없었다"고 말했다.

현재 다누리는 고도 100㎞ 원 궤도를 2시간 간격으로 돌며 순항하고 있다.

최근 항우연은 NASA와 맺은 한미 달 탐사 협력 이행약정을 2028년까지 연장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 기관은 당초 한국의 달 탐사선이 2018년 발사되는 것을 상정해 올해까지 이행약정을 맺었지만, 한국 계획이 여러 차례 연기되며 이번에 연장 필요성이 생겼다.

shjo@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흑인이 무슨 테니스를"…한국계 유명 디자이너 뉴욕서 피소
美 60세 소방관, 13건 방화 혐의로 체포…"화재 진압에도 참여"
[아시안게임] 황당한 심판 판정…야구 한국-홍콩전서 20분 넘게 경기 지연
[아시안게임] 볼만 잡아도 야유…중국 관중 응원도 이겨낸 황선홍호
사형 선고 위기 美애틀랜타 총격범, 두뇌 발달 미숙 주장
특전사 대원끼리 싸우다 흉기로 가슴 찔러…술집서 체포
청주서 10대 아들, 어머니에게 흉기 휘둘러 살해
인천발 사우디 경유 사우디아항공 승객 100여명 수하물 분실
출판사 김영사 창업한 김강유 회장 별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02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92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