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타다 또 좌절…"고객 다 뺏어가려는 속셈" 택시업계 반발탓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제2의 타다 또 좌절…"고객 다 뺏어가려는 속셈" 택시업계 반발탓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4회 작성일 24-01-31 00:17

본문

뉴스 기사
기업·외국인 관광객 겨냥
고급세단·수행기사 서비스
택시 “일반인도 이용” 항의

서비스 조기중단 결정하자
IT업계 “혁신 또 가로막혀”


제2의 타다 또 좌절…


택시 면허 없이도 운행할 수 있어 ‘제2의 타다’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던 우티UT의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 ‘블랙’이 좌초됐다.

외국인과 기업 의전 고객을 겨냥해 서울에서만 제한적으로 운행하는 등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용도와 달리 향후 그 대상이 일반인으로 확대될 소지가 있다는 택시업계 반발 때문이다.

우티는 30일 공식 입장문을 내고 레인포컴퍼니LANE4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운영 중이던 ‘블랙’ 서비스를 1월말 부로 시범 운영 단계에서 조기 중단한다고 밝혔다. 앞서 우티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한국 방문 외국인, 의전이 필요한 기업 고객 등 특수 시장을 겨냥해 고급 세단과 전문 수행 기사를 활용한 블랙 서비스를 운영해 왔다.

우티는 이 서비스를 위해 택시 면허 없이도 차량을 구매·대여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입1’ 사업자인 레인포컴퍼니LANE4와 협약을 체결했다. 레인포컴퍼니는 프리미엄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현행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의 플랫폼운송사업허가에 근거를 둔 ‘타입1’은 택시 면허 없이 플랫폼 기반 운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유형으로, 그 대신 매출의 5% 또는 운행 횟수당 800원 등 기여금을 내야 한다.

이에대해 택시업계에선 “사실상 호출 중개 플랫폼을 이용해 일반 승객의 호출까지 받으려는 심산”이라며 반발했다. 이 과정에서 아예 우티 콜을 받지 않겠다는 택시 기사들이 속출하는 등 ‘우티 콜 보이콧’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최근 택시 단체들은 이와 관련해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주 사업자인 우티에 항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news-p.v1.20240130.98a21cfcd84a42f8b3d846e1edf160bb_P1.png


사태가 커지가 우티는 다음달 2일 택시 4단체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 만나, 블랙 서비스와 관련해 설명하고 오해를 풀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현장 갈등이 큰 만큼 타입1 사업자와 연계된 블랙 서비스는 재개하지 않기로 입장을 정했다.

우티측은 새 서비스 도입 취지에 대해 “우버 앱과 연동된 우티의 강점을 활용해 비즈니스 고객이나 관광을 위해 방한하는 외국인들에게 편리한 이동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시범 운영에서 도출된 수요·운행 데이터 및 피드백을 분석해 다양한 택시 서비스 상품 확대를 위한 발판을 삼으려고 했다”고 전했다.

우티는 SK스퀘어 계열사인 티맵모빌리티내비게이션 티맵 운영사와 글로벌 승차 공유 서비스 기업인 우버Uber가 지난 2021년 4월 손잡고 만든 합작법인이다. 우티는 우버가 지분 51%, 티맵모빌리티가 49%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한편 모빌리티업계에선 이러한 우티의 블랙 서비스 조기 중단 결정과 관련해 “타다 사태 이후 또 한 번 혁신이 가로 막힌 사례”라는 반응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택시업계 현실에선 심야 시간대에는 택시 운전기사들의 노령화 등으로 공급이 부족하고 지역에 따라서도 콜을 선택적으로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는 등 충분한 수요와 공급이 연결되지 않는 일련의 상황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때문에 비용을 더 내더라도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프리미엄 택시의 수요는 꾸준하기에 타입1 택시의 플랫폼 개방을 논의의 장으로 본격적으로 끌여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우버는 지난 2013년 8월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가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불법 논란으로 철수한 뒤 2021년 4월 티맵모빌리티와 손잡고 합작법인 형태로 재진출했다. 타다 역시 택시 업계의 반발에 부딪쳐 사업이 좌초돼 현재 호출 중개 서비스타입3만 소규모로 영위하고 있다.

“조국 아이들 모든 것 내려놓았다”…차범근, 탄원서 제출한 이유

마트 점장이 ‘연봉 5억’ 진짜라고?…누구나 억대연봉 받을 수 있다는 이곳

바다서 힘겹게 나온 여성, 검붉은 피로 가득…시드니서 상어 습격 중상

콘서트 끝나자 프랑스 영부인이 끌고나왔다…블랙핑크 리사, 무슨일이

“이렇게 싸게 내놔도 안 팔린다고?”…2억 깎아줘도 오피스텔 ‘외면’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17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05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