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80세 10명 중 1명은 파킨슨병 발병 위험"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국내 50∼80세 10명 중 1명은 파킨슨병 발병 위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84회 작성일 23-11-23 11:34

본문

뉴스 기사
파킨슨병 유발 렘수면행동장애의 전단계 특징 나타나
분당서울대·고려대안산병원 연구팀 공동연구…국제학술지 게재

윤창호왼쪽부터·이우진·신철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국내 50∼80세 연령대 10%는 파킨슨병의 전조 증상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이우진 교수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철 교수 공동연구팀은 23일 동일집단코호트 연구를 통해 렘REM수면행동장애와 그 전구前驅·전 단계 증상의 유병률과 임상 특징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자면서 꾸는 꿈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만성 수면 질환이다. 꿈속에서의 행동이 실제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꿈-행동화와 근육의 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렘수면무긴장 소실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 렘수면행동장애의 전구증상은 이 가운데 한 가지만 나타나는 경우다.

정상적인 렘수면 동안에는 근육이 이완돼 몸을 움직일 수 없지만,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는 반대로 근육이 긴장돼 자는 동안 소리를 지르거나 발로 차고, 주먹을 휘두르는 등 이상 행동을 보인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는 발병 후 12년 안에 73.5%가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다계통위축,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행된다.

더욱이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수면다원검사와 렘수면행동장애 선별검사 설문지RBDSQ, 전문의 병력 청취 등을 통해 지역사회 코호트에 포함된 1천75명범위 50∼80세, 남자 53.7%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렘수면무긴장 소실과 꿈-행동화의 유병률은 각각 12.5%, 3.4%로,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이 렘수면행동장애의 유병률1.4%보다 훨씬 높았다.

10명 중 1명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행될 조짐이 있다는 분석이다.

또 연구팀에 따르면 전구증상인 렘수면무긴장 소실과 꿈-행동화 사이 상관관계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전구증상 간 임상적인 특징이 매우 다르다는 뜻으로, 연구팀은 각 전구증상을 별도로 관리하면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에서 그다음 단계의 질환으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윤창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역 사회 코호트를 기반으로 일반 인구에서 렘수면행동장애와 그 전구증상의 실제 특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이어 "할 수 있는 인자를 발굴해 적극적으로 질병을 선별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 상위 5% 이내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뉴롤로지Neurology 최신호에 실렸다.

soho@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가수 성진환·오지은, 결혼 9년여만에 이혼…"앞날 응원"
갑자기 도로 진입한 자전거 충돌해 사망사고…차량운전자 무죄
당근칼 자막 조작보도 논란 MBC·기자 사과
유튜버에 주먹질 이근, 1심서 벌금 500만원
"n번방 후에도 이런 성착취를…" 판사도 고개 저은 10대의 범행
청담동 술자리 의혹 첼리스트, 유튜버 상대 5억 손배소
찰스 3세, 블랙핑크에 대영제국훈장 수여…尹대통령 부부 참석
기강 다잡는 軍…사관학교까지 근무복 대신 전투복 착용 지시
"화장실 불법촬영 학생 가정방문 여교사 회복 지원"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46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4,02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